초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고령자들의 두뇌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최근에는 시니어들의 두뇌 활동을 자극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돼 눈길을 끌고 있다. 다양한 보드게임과 함께 바둑 역시 주목받는 아이템이다.
이와 관련, 한국기원과 분당서울대병원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바둑이 인지증진과 뇌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참여자들의 1차 바둑 프로그램이 11일 시작됐다.
연구 대상은 바둑을 둘 줄 모르는 비치매, 고등학교 졸업 이상, 만 50세~74세 남녀 한국인이며, 연구 참여자는 시험군(치료군)과 대조군(비치료군) 중 한 군에 무작위로 배정된다.
1차로 치료군에 배정된 참가자 24명은 인지기능에 대한 전문의의 문진과 임상평가, 신경심리평가, 뇌자기공명영상검사, 혈액검사 등을 마치고 3월 11일부터 바둑프로그램(24주 과정)에 참여하여 바둑을 배우게 되며, 6개월 후에 다시 한번 동일한 검사를 받게 된다.
비치료군에 배정된 참가자는 24주간 바둑을 배우거나 두지 않고 생활하며, 동일한 평가를 6개월 간격을 두고 총 2회 받는다. 비치료군에 배정된 경우, 사후 평가까지 마친 대상자들에 한해 치료군에 제공했던 교육프로그램을 연구 종료 후 이어서 제공할 예정이다. 2차 프로그램은 5월 중순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일반인 뿐 아니라 프로기사 30명을 대상으로 한 '고령 프로기사의 뇌구조와 기능 특성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된다.
양재호 한국기원 사무총장은 "바둑이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논문이 일본에서 몇 차례 발표된 적은 있지만 제대로 임상시험을 거쳐 과학적인 입증을 해낸 정통 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며, "이번 서울대학병원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학계에서 인정받는 유의미한 연구 결과가 도출된다면 앞으로 바둑을 통해 국민들, 나아가 전 세계인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에서는 바둑과 같은 전략 게임을 정기적으로 하는 것은 특히 노인에서 기억력, 문제 해결 능력 및 반응 속도 향상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효과는 인지 저하를 늦춘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바 있다. 또한 바둑과 같은 특정 게임이 정서적 안정과 기분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아울러 바둑을 통한 사회적 교류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우울증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 전반적인 인지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