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국내 홍역 환자 6년 만에 최다…대다수 베트남발 감염

by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우리나라의 홍역 환자가 2019년 이후 6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일까지 신고된 홍역 환자는 모두 52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년 전체 동안 발생한 환자 49명보다 많고, 2019년(연간 194명) 이후 6년 만에 최다 수치다.

국내 홍역 환자는 코로나19 기간이던 2020년 6명, 2021년과 2022년엔 0명이었고, 이후 2023년엔 8명을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인증한 홍역 퇴치 국가다.

2001~2002년 홍역 대유행 시기 5만 50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했지만 정부의 집중적인 퇴치 사업으로 환자가 급감, 2006년 홍역 퇴치 선언을 했다.

올해 홍역 환자 52명 중 중 34명은 해외에서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고 나머지 18명은 이들 해외유입 환자를 통해 가정이나 의료기관에서 전파된 경우다. 해외 유입 대다수는 베트남발 감염으로 파악됐다.

한편 홍역은 홍역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발진성 질환이다. 홍역에 걸리면 발열과 발진,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 자연적으로 회복하는 임상 경과를 밟지만, 드물게 호흡기 및 중추신경계에 심한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1967년 이후 출생 성인 중 홍역에 대한 면역이 없고 건강한 일반 성인은 적어도 1회 홍역 백신을 접종해야 하며, 해외여행과 같이 홍역 노출 고위험군인 경우 홍역 면역 추정 증거가 없다면 최소 28일 간격을 두고 2회 접종하도록 권고된다. 일반적으로 자연 감염을 경험했거나 2회 백신을 접종한 경우, 그리고 홍역 특이 항체 IgG가 양성인 경우, 홍역에 대한 면역력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홍역백신 접종이력은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 2002년 이전에 접종했다면 기록이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 혈액검사를 통해 항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