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국민 55% "장기적 울분상태"…심각한 스트레스 경험 40대 '55.4%' 최고

by

우리 국민의 55%는 '장기적 울분 상태'라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건강재난 통합대응을 위한 교육연구단이 설문조사 업체인 케이스탯리서치를 통해 지난달 15∼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정신건강 증진 관련 조사 결과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우리 사회 구성원의 전반적인 정신건강 수준을 묻는 항목에 응답자들의 48.1%는 '좋지 않다'고 답했고, '보통'은 40.5%, '좋다'는 11.4%에 그쳤다. '좋지 않다'고 답한 이들이 꼽은 원인 1위는 '경쟁과 성과를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37.0%)였고, '타인·집단의 시선과 판단이 기준이 되는 사회 분위기'(22.3%)가 뒤를 이었다.

주요 감정과 정서 상태를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응답자들의 12.8%는 '높은 수준의 심각한 울분'(2.5점 이상)을 겪고 있었으며 이들을 포함한 54.9%는 울분의 고통이 지속되는 '장기적 울분 상태'(1.6점 이상)였다. 특히 30대와 월 소득 200만원 이하 계층에서 '높은 울분' 비율이 타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나이별로 보면, 심한 울분 비율은 30대에서는 17.4%, 60세 이상에서는 9.5%였다. 소득별로는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집단에선 21.1%, 월 소득 1000만원 이상 집단에서는 5.4%였다.

주관적 계층 인식별로는 '하층' 자처 응답자의 16.5%가 높은 울분을, '상층' 응답자는 15.0%, '중간층' 응답자는 9.2%로 나타났다.

'기본적으로 세상은 공정하다고 생각한다'는 문항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비율은 69.5%에 달했다. 다만 응답자 개인 차원의 공정성에 대한 질문에서는 58.0%는 '나는 대체로 공정하게 대우받는다'고 답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공정성 신념이 높아질수록 울분 점수는 낮아졌는데, 일반적 공정 인식 점수가 평균보다 낮은 집단은 평균점 이상 집단보다 울분 정도가 높았다.

우울감의 경우 전체의 33.1%가 '중간 정도 이상의 우울'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30대가 가장 높았고, 20대·40대·50대·60세 이상이 뒤를 이었다. 소득별로는 월 소득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에서 52.6%가 중간 이상 우울을 보였고, 월 1000만원 이상은 17.2%로 나타났다.

전체 불안 평균 점수는 1.76점으로, 월 200만원 미만 계층은 2.4점을 기록했다. 외로움 역시 전체 평균은 1.26점인데, 월 200만원 미만 계층은 1.5점으로 평균보다 높았다.

지난 1년 동안 건강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적이 있는 응답자의 47.1%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보면 40대에서의 경험 비율이 55.4%로 가장 높았다. 월 소득 수준 별로는 200만원 미만 구간에서는 58.8%였고, 소득이 올라갈수록 경험 비율은 낮아져 1000만원 이상 구간에서는 38.7%를 기록했다.

스트레스 경험자에게 스트레스 유발 원인을 복수로 고르게 했더니 개인·가족의 건강 변화가 42.5%, 경제 수준 변화가 39.5%로 높게 나왔다. 또 응답자의 27.3%는 지난 1년 중 기존에 하던 역할이나 책임을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큰 정신건강 위기가 왔었다고 답했으며, 이들 중 51.3%는 자살을 생각, 그중 13.0%는 실제로 시도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큰 정신건강 위기가 왔었다고 답한 이들 중 60.6%는 정신건강 위기에 처했을 때 도움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했다. 주된 이유는 타인의 시선이나 낙인 등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경험 시 대처 방법'에 대한 복수 선택에서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털어놓고 도움을 구한다'가 39.2%로 가장 높았고, '혼자 참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가 38.1%였다. 전문가에게 도움을 구한다고 답한 비율은 15.2%에 불과했다.

국가가 제공하는 정신건강 증진 서비스 이용 경험은 10% 미만으로, '정신건강복지센터'(9.7%), '정신건강 상담전화'(9.2%),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7.3%), '자살예방 상담전화'(6.9%) 순으로 집계됐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