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박찬준 기자]토트넘이 결국 마지막에 웃었다.
토트넘은 22일 오전 4시(한국시각) 스페인 빌바오의 에스타디오 산 마메스에서 열린 맨유와 2024~2025시즌 유로파리그(UEL) 결승전에서 전반 42분 터진 브레넌 존슨의 결승골을 앞세워 1대0으로 승리했다. 토트넘은 다음 시즌 유럽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거머쥐었다. 토트넘은 2007~2008시즌 리그컵을 들어올린 이후 무려 17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았다. 유럽대항전 우승은 1983~1984시즌 당시 UEFA컵 우승 이후 41년 만이다.
토트넘은 올 시즌 최악의 한 해를 보냈다. 엔제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자신의 2년차에서 항상 우승컵을 들어올렸다고 호기롭게 말했다. 실제 그랬다. 요코하마 마리노스에서도, 셀틱에서도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토트넘은 도미닉 솔랑케를 구단 역대 최다 이적료로 영입하며, 해리 케인이 떠난 후 제대로 된 '넘버9'을 더했다. 지난 시즌 가능성을 보인 공격축구가 더욱 위력을 발휘할 경우, 다크호스가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뚜껑을 열고 보니 기대와 달랐다.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플랜A는 상대에 읽혔다. 공격 일변도 축구로 많은 실점을 허용했다. 플랜B는 없었다. 여기에 부상자들이 속출했다. '철강왕'으로 불린 손흥민 마저 두 차례나 부상자 명단에 올랐다. 크리스티안 로메로, 미키 판 더 펜 등 핵심 수비수들이 줄줄이 쓰러지며 아치 그레이가 센터백에 서야했다. 다른 자리 역시 부상자가 줄줄이 나왔다. 시즌 내내 베스트 전력을 가동한 적이 없을 정도였다.
결국 리그에서 최악의 모습을 보였다. 무려 21패를 당했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출범 후 구단 최다패였다. 순위도 17위까지 추락했다. 리그컵에서 우승 기회가 있었지만,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FA컵마저 탈락했다. 올 시즌도 무관으로 마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포스테코글루 감독 경질설이 이어졌다. 주장이자 수년간 에이스로 활약해온 손흥민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컸다. 손흥민은 올 시즌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 희망은 유로파리그였다. 토트넘은 16강에서 알크마르를 꺾은 후 8강에서 프랑크푸르트를 제압했다. 4강에서는 보되/글림트를 넘었다. 토트넘은 잔류를 확정지은 후 리그를 포기하다시피 하며 유로파리그에 올인했다. 손흥민 역시 프랑크푸르트전에서 발을 다친 후 7경기 동안 결장했다.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무리한 출전보다는 확실한 치료를 우선했고, 손흥민은 결승에 맞춰 몸을 끌어올렸다. 유로파리그는 유럽대항전, 그것도 유럽챔피언스리그로 갈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다.
토트넘은 결국 꿈을 이뤘다. 길고 길었던 무관의 한을 풀었다. 공교롭게도 무관을 이유로 팀을 떠난 해리 케인이 독일 분데스리가 우승을 차지한 해, 토트넘도 우승을 차지했다. 토트넘은 유럽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얻으며, 올 여름 이적시장과 다음 시즌을 향한 큰 동력을 마련했다. 유종의 미였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