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집권 비판·피로도·교체 요구 속 '노 컷오프' 약속에 '희망'
민주당 경선 참여 기회 열렸지만, 하위 평가자 감산 등 공천규칙 주목
(광주=연합뉴스) 박철홍 기자 =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직 재선 광주·전남 단체장들이 잇따라 3선 도전 의사를 표명하면서 선거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일부에서는 노골적으로 3선 도전을 견제·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와, 결국 성패는 현직들의 직무 성과와 정당의 공천 규칙에 달릴 전망이다.
11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내년 지방선거에 3선 도전에 나설 광주·전남 지역 광역·기초단체장은 모두 9명으로 관측된다.
광역단체장 중에서는 김영록 전남지사가 일찌감치 '전남도 최초 풀타임 3선(재보궐 당선 없이 3선 연임)' 도전 의사를 밝혔다.
광주지역 기초단체장 가운데서는 광주 임택 동구청장과 김병내 남구청장이 도전 의사를 공식화했고, 재선 임기 중인 문인 북구청장은 광주시장 선거에 나설 전망이다.
전남에서는 김순호 구례군수, 김철우 보성군수, 명현관 해남군수, 김산 무안군수, 이상익 함평군수의 3선 도전이 예상되고, 김성 장흥군수는 '징검다리 재선' 임기 중으로 비연속 3선에 도전한다.
이들 중 문인 북구청장을 제외하고 현재까지 3선에 도전하는 단체장은 9명이다.
현직들의 3선 도전이 가시화되자 비판과 견제 움직임도 터져 나오고 있다.
임택 동구청장은 최근 '3선 도전 반대' 문자메시지 대량 발송 사건에 고발로 대응했고, 다른 단체장들 역시 '장기 독주 견제', '올드보이론', '임기 중 비위 의혹 폭로' 등 각종 공격에 시달리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장의 3선 연임은 ▲ 12년 장기 집권에 따른 권력 독점 ▲ 피로도 ▲ 정치적 세대교체 지연 ▲ 정책 고착화 ▲ 도덕적 해이와 비리 가능성 등을 이유로 비판받는다.
반면 재선 임기 동안 성과를 보여준 단체장은 굳이 교체할 필요가 없다는 신중론도 존재한다.
9명의 3선 도전 단체장이 모두 민주당 소속인 상황에서, 정청래 당 대표가 전당대회 과정에서 '노 컷오프(컷오프는 없다)'를 약속하면서 경선 배제를 걱정하던 현역들에게는 청신호가 켜졌다.
다만 현역 평가 하위자에 대한 경선 감산 가능성은 남아 있어 안심하기 이르다.
특히 호남지역은 민주당 공천이 곧 당선으로 이어지는 구도가 여전한 만큼, 민주당 차원의 공천 규칙과 전략적 개입 여부가 최대 변수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민주당이 호남에서는 무리한 물갈이보다는 경선 경쟁을 통한 자연스러운 교체 또는 재신임 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있는지 관심이 있다"며 "다만 3선 도전 현역을 모두 살릴 수도 없고, 현역에만 유리한 공천 규칙을 수립할 수 없는 만큼 경선 방식 설계가 승패를 결정지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pch80@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