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구매 확대·혁신제품 발굴 촉진…AI 트랙도 신설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조달청은 혁신제품 공공구매를 2030년까지 3조원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하고, 혁신제품 지정과 운영 전반을 개선한다고 11일 밝혔다.
혁신제품 공공구매는 정부가 위험 부담을 안고 혁신기술 제품을 선도적으로 구매해 초기 판로와 혁신성장의 발판을 제공하는 제도다.
로봇·AI 등 첨단기술 중심으로 산업 전반이 빠르게 재편되면서 혁신조달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조달청은 혁신제품 공공구매 규모를 지난해 1조원 규모에서 2028년도까지 2조원, 2030년도까지 3조원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세부 이행계획을 추진한다.
우선 공공이 혁신제품을 먼저 검증하고 확산하는 사업인 조달청 시범구매를 확대하고, 구매목표제 운영도 강화한다.
내년 혁신제품 시범구매 정부 예산안으로 올해(529억원)보다 1.6배 증가한 839억원이 반영됐다.
이후에도 지속해 시범구매 규모를 확대하는 한편, 현행 1.0∼1.7% 수준인 공공기관 혁신제품 구매목표 비율을 높여 공공수요를 끌어 올릴 계획이다.
또 혁신제품 지정제도 2단계(공공성과 혁신성) 평가 절차를 통합해 기업 부담은 줄이고, 지원 기회도 연간 3차례에서 4차례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전문연구기관을 유망 혁신제품 발굴 스카우터로 지정, 발굴을 촉진함으로써 2030년까지 혁신제품을 5천개 이상(누적 기준)으로 확대한다.
특히 인공지능(AI) 등 미래 전략산업 중심 전용 트랙을 신설해 공공조달 진입을 넓힐 계획이다.
지역에 뿌리를 둔 스타트업을 혁신기업으로 발굴하고, 민간투자 유치 성공 제품을 혁신제품으로 유입하는 등 '민간투자 연계 모델'을 도입한다.
혁신제품 수요 발굴과 실증 과정을 관리하는 등 실증 코디네이터를 도입해 혁신제품 관리를 내실화하고, 공공수요에 기반한 혁신제품 연구개발과 실증·판로를 지원할 계획이다.
백승보 조달청장은 "정부가 위험을 감수하고 상용화 이전의 혁신제품들을 선도적으로 구매하는 것이 미래지향적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우리 경제의 혁신성장을 이끄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혁신제품 공공구매를 대폭 확대해 경제 성장의 마중물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jyoung@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