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기 담수 가능 예상…가뭄 등 대비 수원 확보 다원화 절실"
(원주=연합뉴스) 임보연 기자 = 원주시가 홍수조절용으로 건설된 '원주천댐'의 담수를 검토하고 나섰다.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댐에 물을 담수해 비상 용수로 사용하는 등 긴급 용도로 활용하고, 시민들의 휴식·관광 공간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꾸준히 제기됨에 따른 판단이다.
원주시 판부면 신촌리에 건설돼 운영 중인 원주천댐은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건설돼 180만t을 담수할 수 있는 홍수조절 전용 댐이다.
올해 7월 집중호우에 처음으로 가동되었으며, 약 30만여t의 빗물을 담수하는 등 원주천 하류 수위 상승을 예방하는 데 이바지했다.
하지만 최근 강릉의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 등 피해가 확산하는 사례 등에 따라 비상 용수를 위한 담수 의견이 제기되고 휴식·관광 공간 조성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는 원주천댐 건립을 위한 환경부 사업계획협의 및 환경영향평가 당시 원주지방환경청과의 협의에 따라 담수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원주천댐 건립을 위한 환경부 사업계획협의 및 환경영향평가 당시 원주지방환경청과의 협의 내용인 '홍수조절 이외의 목적으로 담수를 계획하는 경우 원주지방환경청과 별도 협의절차 이행'의 이유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는 앞으로 담수 타당성 검토 용역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경부 및 원주지방환경청과 협의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영일 생태하천과장은 12일 "댐의 특성상 홍수기에는 담수가 어렵지만, 갈수기에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 경우 비상용수·농업용수 등으로 활용하는 이수 목적에도 부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담수가 이뤄지면 ▲ 비상용수 및 농업용수 확보 ▲ 시민들의 휴식공간 제공 ▲ 관광 자원화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최근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심각한 가뭄 사례를 들어 원주시 수원 확보 다원화는 절실하다는 견해이다.
또 원주천 유역 홍수량 경감을 통해 시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동시에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합리적인 담수 방안 마련에도 행정력을 모을 방침이다.
limb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