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회와 단절된 채 살아가는 고립은둔청년 1천300명을 발굴하고 이들의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들을 전담하는 기관을 2배로 늘리고, 자살 예방을 위해 일대일 상담 서비스도 도입한다.
1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위기청년 전담기관인 청년미래센터는 지난해 8월 인천, 울산, 충북, 전북 등 4개 시도에서 개소한 이래 올해 6월까지 총 1천300명의 고립은둔청년을 발굴했다.
청년미래센터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아픈 가족을 돌보는 데 많은 시간을 쏟는 13∼34세 청소년·청년, 주변으로부터 고립된 채 은둔하는 19∼39세 청년을 돕기 위한 곳이다. 도움이 필요한 청년을 찾아 이들이 안정적으로 자립할 때까지 지원하고 지속해서 관리한다.
고립은둔청년 발굴은 당사자가 온라인으로 고립은둔 자가 진단을 하거나, 개별 상담 신청, 가족들이 의뢰하는 경우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뤄진다.
초기 상담을 실시해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자조모임·일상회복·공동생활 합숙 등 맞춤형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청년의 가족들은 소통교육, 심리상담, 자조모임 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복지부는 국내 고립은둔청년이 최대 54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산에 따라 이들을 발굴·지원하기 위한 사업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다.
대인관계를 기피하고 스스로를 자신만의 공간에 가두는 고립은둔청년의 특성상 찾아내지 못한 사례가 훨씬 많은 만큼, 내년에는 청년미래센터를 4곳 추가 개설해 총 8곳 운영할 계획이다.
자살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고립은둔청년의 정신건강 대책도 강화한다. 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23년 고립·은둔 경험이 있는 청년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 8천436명 중 6천360명, 약 75% 상당은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고립은둔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자살예방상담을 확충하고자 이들을 찾아가는 일대일 온라인 상담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청년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서 특정 시간에 선제적으로 찾아가 먼저 말을 걸고 지금 심리 상태가 어떤지 등을 확인하고 상담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자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jandi@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