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원자력발전소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이 조만간 한계치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돼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향후 10년간 원전별 사용후핵연료 저장현황과 포화율 전망 자료에 따르면, 고리 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저장 포화율은 올해 93.5%로 내년에 95.1%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저장용량 8천38다발 중 7천648다발을 채우게 될 것이라고 한다.
저장용량이 임계치에 다가선다는 우려는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구체적 전망 수치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한빛 원전도 올해 85.3%에서 2029년 95.1%로, 월성 중수로도 현재 84.6%에서 2033년 98.6%까지 포화율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수원은 건식 저장 시설을 활용해 포화율을 낮춰보겠다는 계획이다.
원전에서 연소한 사용후핵연료는 우선 발전소 내 저장조에서 습식으로 저장하며, 저장조가 포화하거나 원전 해체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 원전 부지 내 건식 저장 시설로 이동해 저장하고 있다.
고리 원전의 경우 2027년 2호기의 습식 저장대를 조밀 저장대로 교체하고, 2031년에는 건식 저장 시설을 운영해 포화율을 68.6%까지 낮추겠다는 목표다.
한빛 원전도 2030년 건식 저장 시설을 운영하면 포화율이 65.3%로, 월성 중수로도 2034년 건식 시설 증설 시 87.5%로 떨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계획대로 진행될지 장담하기 어렵다는 게 문제다.
이달 말 시행되는 고준위 방사장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건식 저장 시설 등의 설치도 신설되는 국무총리 소속 행정위원회의 승인과 지역주민 동의가 필요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특별법은 사용후핵연료 중간 저장시설과 영구 처분시설 확보를 근본적 해결책으로 명시했는데, 지질 조사부터 부지 선정, 주민 협의, 설치까지 수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 때문에 영구 처분장을 확보할 때까지 공간 포화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해외 위탁 재처리가 언급되기도 한다. 2015년 개정된 한미원자력협정상 미국과 협의가 있으면 가능하다.
┌─────────────────────────────────────┐
│ 주요 원전 3곳 사용후핵연료 시설 포화율 전망(년,%) │
├───┬───┬──┬──┬──┬──┬──┬──┬──┬──┬──┬──┤
│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
│ 고리 │ 93.5 │95.1│89.1│91.3│93.3│96.3│68.6│70.1│72.2│74.7│75.1│
│ │ │ * │ │ │ │ │ │ │ │ │ │
├───┼───┼──┼──┼──┼──┼──┼──┼──┼──┼──┼──┤
│ 한빛 │ 85.3 │86.0│90.6│93.5│95.1│65.3│67.2│69.2│71.2│73.1│75.1│
│ │ │ │ │ │ * │ │ │ │ │ │ │
├───┼───┼──┼──┼──┼──┼──┼──┼──┼──┼──┼──┤
│ 월성 │ 84.6 │86.5│87.9│88.5│89.4│91.2│93.9│96.2│98.6│87.5│89.5│
│ │ │ │ │ │ │ │ │ │ * │ │ │
├───┴───┴──┴──┴──┴──┴──┴──┴──┴──┴──┴──┤
│ ※ 월성은 중수로, *는 포화상태│
└─────────────────────────────────────┘
한편, 초당적 연구모임 무궁화포럼을 발족해 핵 잠재력 확보 정책 논의를 주도해온 유 의원은 한미원자력 협정 개정으로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권한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은 "에너지 안보와 산업 경제 미래를 좌우하는 전략적 과제임을 고려해 26기의 원전을 운영하는 우리도 최소한 일본과 동등한 권한을 인정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최근 한미정상회담에서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문제를 의제로 올렸고 미국도 협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전해졌다.
lisa@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