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2030년 전남교육에 대비해 학교 수업을 혁신하고 그 사례를 공유하는 '유·초·중등 2030수업축제'가 오는 11월29일까지 도내 시범학교들과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 등에서 이어진다.
'전남 수업 대전환, 2030교실에서 길을 찾다'를 주제로 한 이번 행사는 2030수업나눔과 2030수업한마당으로 나뉘어 열린다.
수업나눔은 도내 2030교실에서 펼쳐지는 릴레이형 공개수업으로 세계시민·디지털·지역연계·생태전환 등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총 130개 수업을 공개한다.
여수화양초의 '2030학생작가교실'에서는 학생들이 1년 동안 직접 제작한 그림책을 친구들과 나누며 작가로서의 성장 경험을 소개한다.
광양제철고의 일본어 미래교실 '한일 생태 토론 프로젝트'는 일본 사가북고등학교와 온라인으로 연결해 언어와 문화를 넘나드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으로 운영된다.
수업한마당은 수업 시연·공연·콘퍼런스·체험 부스 등을 갖춘 축제형식으로 구성해 초등과 중등으로 나뉘어 다채롭게 펼쳐진다.
유·초등은 11월 22일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에서, 중등은 11월 29일 순천삼산중에서 열리며 교원·학생·학부모·교육전문직원 등이 한자리에 모여 전남 수업 대전환 콘텐츠를 공유한다.
160여 개 프로그램을 공모해 학교와 교사가 직접 참여하며 현장 중심의 참여형 수업 모델을 선보인다.
유초등 수업한마당에서는 홍콩·베트남 학생들과 함께하는 '우리 섬 독도 알리기' 국제교류 수업도 예정돼 있다.
중등 수업한마당은 교과별 실시간 수업 시연을 통해 학생 참여형 수업 사례를 공유하고, 교사들이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질문하는 학교' 선도학교로 참여한 여도중·목포덕인고·벌교고는 질문 중심의 학생 주도 프로젝트 수업 사례를 발표하며 변화하는 수업문화를 현장에서 생생히 보여준다.
김대중 전남도교육감은 "교실 속 수업의 변화를 실천하고, 교사·학생·학부모가 함께 성장하는 수업문화를 수업축제 행사를 통해 도내 전역에 확산하겠다"고 말했다.
betty@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