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번 하는 얘기지만, 스트라이크 존은 주심의 고유권한이다. 심판합의에 의한 비디오 판독도 이 영역은 간섭할 수 없다.
문제는 이 스트라이크 존이 달라진다면, 그라운드 안에서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프로 경기에서 불만이 터져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문제가 된 장면은 9회였다.
7-5로 앞서던 삼성은 위기를 맞았다. 끈질긴 두산은 선두 타자 김재호와 정수빈의 안타와 민병헌의 볼넷으로 1사 만루의 찬스를 맞았다. 김현수마저 밀어내기 볼넷을 얻으면서 6-7, 1점차. 게다가 1사 만루 상황은 그대로였다.
타석에 양의지가 들어섰다. 1B 2S의 상황. 임창용의 커브가 타자 바깥쪽에서 약간 휘어졌다. 양의지의 배트는 나가지 않았다. 이날 주심의 판정 경향과 공의 위치 상 볼이 선언될 확률이 높았다. 그런데 그대로 스트라이크 선언이 됐다. 절체절명의 승부처에서 나온 판정이라곤 상식적으로 납득이 쉽지 않은 부분이다.
양의지는 즉각 주심에게 "빠졌다"며 항의했다. 받아들여질 수 없었다. 충분히 억울할 만했다. 하지만 번복될 순 없는 일이었다. 스트라이크 존은 주심의 고유권한이기 때문이다.
양의지는 타석에서 벗어난 뒤 분이 풀리지 않은 듯 백네트에 배트를 집어던졌다. 적절치 않은 행동이었지만, 이해할 만했다.
매우 중요한 상황. 이날 스트라이크 존은 매우 좁은 상태. 절체절명의 승부처에서 나온 판정에 흥분할 수밖에 없었다. 두산 김태형 감독도 벤치에서 벗어나며 항의했지만, 어쩔 수 없었다.
결국 삼성 임창용은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한시름을 놨다. 결국 2사 만루 상황에서 고영민을 삼진 처리, 삼성이 1점 차로 이겼다.
확실히 삼성은 강하다. 베테랑들의 위기관리능력이 탁월하다. 핵심 선수들은 야구에서 이기는 법을 알고 있다. 양의지의 삼진으로 처리된 공이 만약 볼로 선언됐다고 해도 두산이 이긴다는 보장은 없다. 하지만 최선을 다한 삼성의 입장에서도 찜짬한 것은 사실이다. 결국 9회 공 하나의 판정으로 인해 이긴 삼성도, 패한 두산도 경기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기 힘들게 됐다.
글쎄다. 다시 한번 얘기하지만, 스트라이크 존은 심판 고유의 권한이다. 그렇기 때문에 승부처에서는 더욱 철저하게 봐야 한다. 스포츠의 최대미덕은 땀의 보상이라는 점이다. 심판진의 판정은 선수들의 노력의 보상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데 있다. 대구=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