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 라이온즈발 개혁의 신호탄이 프로야구판을 변화시킬 것인가.
한화 이글스 에스멜 로저스 190만달러, KIA 타이거즈 핵터 노에시 170만달러, 롯데 자이언츠 조쉬 린드블럼 120만달러. 외국인 선수들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세 구단 모두 돈쓰기에 있어서 2등 하라면 서러울 구단들. 하지만 이 구단들도 항상 부러워하는 구단이 있었으니 바로 삼성이었다. FA, 외국인 선수 영입 뿐 아니라 연봉과 뒤에서 선수들에게 지급되는 메리트 등 돈싸움에서 삼성을 이길 구단은 많지 않았다.
구단이 제일기획 밑으로 들어가며 무차별적 투자는 없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박석민을 쿨하게 NC 다이노스로 떠나보내는 상징적 사건이 있었다. 여기에 외국인 선수 영입 과정까지 이제 삼성의 노선은 확실히 정해졌다.
삼성이 이러는데 너희는 왜?
삼성의 이러한 변화가 프로야구판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까.
일단 프로야구판 변화의 조짐은 넥센 히어로즈로부터 시작됐다. 모기업들의 무한 지원 속 적자를 보면서도 편안하게 팀을 운영해왔던 구단들. 하지만 넥센이 돈을 벌어들이는, 그러면서도 성적을 내는 새로운 구단 운영으로 주목을 받았다. 당연히 "넥센이 돈 벌면서도 저렇게 하는데 너희는 뭐하는 것이냐"라는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
하지만 넥센이 이런 결과를 만들어낼 때도 대기업 구단들은 제 갈 길을 갔다. 서로 간의 경쟁 체제가 중요했기 때문. 쓰는 돈을 줄이고 싶어도, 라이벌 구단이 투자를 하면 울며 겨자 먹기로 하는 식이었다.
하지만 다른 팀도 아니고, 통합 5연패에 빛나는 삼성이 새로운 노선을 선택했다는 건 큰 의미가 있다. 만약, 삼성이 이런 변화 속에서도 성적을 유지한다면 다른 모기업들도 야구단 지출에 충분히 압박을 가할 명분이 생긴다. 실제, 삼성이 변화의 의지를 만천하에 드러냈는데 LG 트윈스 역시 물밑에서는 조용히 구단 예산을 줄이고 있다. KIA 타이거즈도 외국인 선수에게는 과감한 투자를 하되, 효율성에서 떨어지는 FA 영입에는 무모하게 발을 들이지 말라는 고위층 지시를 받았다는 얘기가 들렸다.
삼성 뿐 아니라 몇몇 구단들이 비슷한 길을 가게 된다면, 그 와중에 많은 돈을 쓰는 구단은, 특히 그러고도 성적을 내지 못한다면 냉혹한 평가를 뒤집어 쓸 수 있다.
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