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야구입시 비리가 2012년 이후 3년 만에 불거져 아마야구계가 시끄럽다. 경찰에 따르면 6개의 대학이 수사 대상이다. 수사 진행 과정에 따라 서울 및 수도권 대학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다른 종목에도 입시 비리는 존재하지만 특히 야구에 대한 입시비리 제보가 잇따르고 있다. 어제 오늘의 문제만도 아니다.
대학은 학문을 연구하고 닦는 곳이며 스포츠 역시 이 범주 안에서 다뤄져야 한다. 비리로 입학한 선수가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더구나 공정한 경쟁을 통해 승리를 쟁취하는 것이 스포츠의 정도임에도 아마야구 입학에는 물밑 거래 등 비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승부가 갈리고 있다.
선발과정을 개선해야 한다. 대학 자율에 맡겨져 있는 선발 제도를 뜯어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공개선발제도를 정착시켜야 한다. 사실상 감독이 전권을 행사하다시피 해 선발하는 시스템을 바꾸자는 것이다. 감독이 아니라 대학 스스로 특기생 선발위원회를 구성해 후보 선수들을 공개하고 평가해서 입학시키자는 이야기다. 이 과정에서 프로구단 스카우트들의 협조를 받아 해당 선수의 실력과 인성 등을 평가할 때 참고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검찰에서도 야구입시비리에 대해 선수선발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진학할 학교를 결정할 때 교차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지금은 선수 한 명이 대학교 한 곳만 지원할 수 있는데, 2개 이상의 학교에 복수 지원해 자신의 능력에 맞춰 입학을 할 수 있도록 하면 그만큼 입시비리가 생길 가능성은 낮아진다. 이러한 공개 선발제도와 입학 전형에 정부 당국이 관여하는 것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 비리 연루자에 대한 처벌 수위를 더욱 높여야 한다. 지금은 비리가 적발되더라도 징역 1~2년, 또는 집행유예로 풀려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 번 잘못을 저지르면 평생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받게 된다는 경각심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