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리그, 거대 계약금 모순]ML와 일본의 계약금에 대한 인식

기사입력 2016-02-15 17:44


시카고 컵스 좌완 존 레스터는 2014년 12월 6년간 총액 1억5500만달러에 계약할 때 계약금은 3000만달러였다. 메이저리그는 장기계약 체결시 계약금, 즉 사이닝보너스의 규모가 별로 크지 않다. 지난해 10월 18일(한국시각) 뉴욕 메츠와의 리그챔피언십시리즈 1차전 선발로 나선 레스터. ⓒAFPBBNews = News1

한국 프로야구는 계약금이 기형적으로 큰 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메이저리그와 일본에서 계약금은 일종의 보너스 개념으로 간주된다. 계약금의 비중이 작다는 이야기다.

이는 FA에 대한 구단의 보류권을 금전적으로 해석하지 않으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계약금보다는 연봉에 큰 비중을 두고 선수 몸값을 책정해 투명성을 확보하겠다는 의도도 담겨 있다. 계약금이라는 장치로 연봉 규모를 향한 외부의 불편한 감정을 피해보려는 우리와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역대 메이저리그 FA 계약에서 계약금의 규모가 가장 컸던 선수는 맥스 슈어저다. 슈어저는 2015년 1월 워싱턴 내셔널스와 FA 계약을 할 때 7년간 총액 2억1000만달러 가운데 계약금, 즉 사이닝보너스를 5000만달러로 책정했다. 그러나 그 비중은 총액의 23.8%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면서 워싱턴은 계약 첫 해 연봉을 1000만달러로 낮게 책정하고, 계약금을 7년에 걸쳐 분할 지급하는 방법으로 당장의 재정 부담을 줄이는 치밀함을 발휘했다.

시카고 컵스 좌완 존 레스터는 2014년 12월 FA 계약시 6년 총액 1억5500만달러 가운데 계약금을 3000만달러로 정했다. 계약금의 비중이 19.4% 수준으로 레스터는 2015년 1500만달러, 2018년과 2019년에 각각 250만달러, 2020년에 1000만달러로 나눠 받기로 했다. 경제전문지 포브스에 따르면 2015년 레스터는 총 3000만달러로 메이저리그 몸값 순위 2위였는데, 이는 책정 연봉 1500만달러와 4월 한꺼번에 지급된 계약금 분할치 1500만달러를 합친 금액이었다.

FA 계약 뿐만이 아니다. FA 자격을 얻기 전 선수를 장기계약으로 묶어둘 때도 계약금의 크기는 미미하다. LA 다저스 클레이튼 커쇼가 2014년 1월 7년간 2억1500만달러에 계약할 때 사이닝보너스는 1800만달러로 총액 대비 8.4%에 불과했다. 텍사스 레인저스 추신수의 경우에는 2013년말 7년 1억3000만달러에 계약하면서 사이닝보너스는 한 푼도 넣지 않았다. 보통 메이저리그 장기계약에서 사이닝보너스는 총액의 10%를 넘지 않는다.

그렇지만 사이닝보너스는 선수 몸값과 팀연봉 등 각종 통계자료에 철저하게 반영된다. 메이저리그는 매년 각 구단의 팀연봉을 집계해 사치세(luxury tax)를 부과하는데, 여기에는 연봉과 계약금, 인센티브가 모두 포함된다. 구단이 선수에 지급하는 모든 금액이 사치세 계산에 반영된다는 얘기다. 선수들의 몸값을 있는 그대로 합산해 팀연봉 형태로 팬들에게 알려주기 때문에 그만큼 투명성이 확보되는 측면이 있다.

일본 프로야구도 마찬가지다. 일본은 관행상 연봉 등 계약 내용을 공개하지 않지만, 몇몇 사례를 보면 계약금 비중은 그리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승엽이 2007년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4년 계약을 할 당시 연봉 6억5000만엔에 인센티브 1억엔이 전부였지, 계약금은 한 푼도 포함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역시 신인에게 FA 자격을 얻을 때까지 갖는 8년간의 보류권 댓가로 높은 계약금을 지불할 뿐 FA에게는 계약금보다는 연봉 중심으로 몸값을 정하고 있다. 니혼햄의 괴물 투수 오타니 쇼헤이도 2013년 입단시 계약금 1억엔, 연봉 1500만엔에 계약했지만, 향후 일본 잔류를 선택해 FA 협상을 하게 된다면 연봉 중심으로 장기계약을 추진한다고 봐야 한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