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핫포커스]선발투수 한계투구수, 100개 이상은 꼭 필요할 때만

기사입력 2019-08-12 15:42


다승, 평균자책점, 승률, 탈삼진 선두를 달리고 있는 두산 베어스 조쉬 린드블럼은 올시즌 선발 평균 투구수가 지난해 100.2개에서 올시즌 98.5개를 줄었다. 올해 에이스급 선발투수들의 투구수가 급격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고척=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노재형 기자] LA 다저스 류현진이 2012년 한화 이글스에서 한창 주가를 올리던 시절, 그의 선발 경기 평균 투구수는 105.3개였다. 27경기에 선발등판해 19번 100개 이상을 던졌고, 최고 132개까지 던진 적도 있다. 사이영상을 향해 질주중인 올시즌 평균 투구수는 93.0개다. 22경기 가운데 투구수 100개 이상은 8번 뿐이며, 최다 기록은 지난 5월 13일 워싱턴 내셔널스전서 던진 116개다. 격세지감이다.

어쨌든 류현진이 KBO리그 마지막 시즌을 보내던 그해 규정이닝을 넘긴 선발투수 22명 가운데 류현진을 비롯해 넥센 히어로즈 브랜든 나이트, 두산 베어스 더스틴 니퍼트와 노경은 이용찬, KIA 타이거즈 앤서니 루르 등 5명이 평균 투구수 100개를 넘겼고, 이들 22명의 선발 평균 투구수는 97.3개였다.

이 수치는 2015년 99.3개, 2016년 100.2개로 정점을 찍다가 2017년 98.8개, 2018년 97.1개로 줄더니 올시즌에는 12일 현재 94.7개로 감소세가 더욱 두드러졌다. 올해 선발 평균 100개 이상의 공을 던진 선수는 26명 규정이닝 투수 가운데 한화 이글스 워윅 서폴드(100.1개) 한 명 뿐이다. 다승, 승률, 평균자책점, 탈삼진 1위 두산 조쉬 린드블럼은 23경기에서 평균 98.5개의 공을 던졌다. 그는 지난해 26경기에서 평균 100.2개를 기록했다. LG 트윈스 타일러 윌슨도 지난해 101.2개에서 올시즌 90.6개로 줄었고, KIA 양형종(99.4개→93.6개), 롯데 자이언츠 브룩스 레일리(101.6개→99.5개) 등 감소세가 뚜렷한 투수들이 많다.

보통 110개까지 당연히 던졌던 외국인 투수들도 지금은 100개 이상을 꺼리는 분위기다. '자의반 타의반'이다. 벤치의 방침이 그럴 뿐 아니라 투수 본인도 100개 이상 던지는 걸 달가워하지 않는다. 린드블럼은 100개 이상 던진 경기가 11번이고, 최다 투구수 경기는 4월 16일 SK 와이번스전서 던진 112개다. 윌슨은 23경기 가운데 100개 이상이 5번에 불과하다.

감독마다 선발투수의 한계 투구수에 관해 뚜렷한 주관을 가지고 있다. SK 염경엽 감독은 이를 100개로 본다. 90개가 넘는 상황에서는 다음 이닝을 맡기지 않는다. 100개가 훌쩍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10일 LG전 선발 앙헬 산체스는 6이닝 동안 108개의 공을 던졌는데, 5회까지 투구수가 83개로 1이닝은 더 던질 수 있던 상황이었다. 당시 염 감독은 "산체스를 (6회에 100개 넘었는데도)바꾸지 않은 것은 올라가기 전 6회는 무조건 다 맡기로 돼있어서다. 이닝 중간에는 웬만하면 바꾸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는 다른 선발투수도 마찬가지다. 염 감독은 "헨리 소사가 이전에는 한 경기에 120개씩도 던졌다. 하지만 올시즌에는 그렇게 많이 던지지 못하게 할 것"이라며 "소사가 지난 겨울 윈터리그도 뛰었다. 그리고 대만리그를 소화하고 왔다. 사실상 2년 가까이 제대로 쉬지 못했다"고 했다.

LG 류중일 감독은 "풀타임을 던지는 용병들은 투구수 관리를 해줘야 한다. 100개 이상은 곤란하다. 90개 이상 넘어가면 일단 바꾼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지난 10일 SK전에서 선발 케이시 켈리가 6회까지 93개를 던지고 교체한 이유다. SK와 마찬가지로 다음 이닝 들어가서 100개 이상을 넘길 공산이 클 경우 직전 이닝에서 끊어준다는 의미다.

린드블럼의 경우 선발승을 따낼 때마다 "투구수 조절 등 관리를 잘 해준 김태형 감독님과 코칭스태프에도 감사드린다"고 덧붙인다. 린드블럼은 올시즌 이닝 중간에 교체된 게 4번 밖에 안된다. 이 수치가 김광현이 3번, 윌슨은 2번, 산체스와 양현종은 1번 뿐이다.

주축 선발투수에 대한 투구수 관리가 필요한 건 정규시즌 막판과 포스트시즌에 대비한 체력 관리 차원이다. 특히 부상, 수술 경력이 있는 투수는 벤치가 나서 엄격하게 투구수 제한을 둔다. 여기에 외국인 투수의 경우, 투구이닝에 따른 인센티브 기준을 채울 정도면 굳이 투구수를 늘릴 필요가 없다는 인식도 작용한다.
노재형 기자 jhno@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