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혁신 트렌드, 야구장 이상의 '돔구장 신세계' 열릴까

기사입력 2021-01-27 17:47


◇고척스카이돔의 모습. 스포츠조선DB

SK 와이번스를 인수한 신세계그룹이 돔구장 건설을 천명했다. 신세계그룹 이마트는 1352억8000만원을 지불하고 SK 와이번스를 인수했다. 양해각서를 주고받으면서 '돔을 비롯한 다목적 시설 건립을 추진'이라는 문구를 넣었다. 고척스카이돔을 능가할 수 있는 미래 돔구장의 출현 가능성에 많은 이들이 기대감을 표하고 있다.

신세계그룹이 지향하는 돔구장은 지금까지의 돔구장과는 결이 다른 느낌이다. 지금까지는 야구를 좀더 편안하고, 더 완벽하게 하기 위한 야구장 시설로서의 돔구장 개념이 첫 번째였다. 비바람을 피하고, 추위에서 보호해줄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돔구장. 하지만 신세계그룹은 복합시설, 여가선용으로서의 돔구장을 이야기하고 있다. 야구의 기능적 가치를 뛰어넘어 복합레저와 쇼핑을 겸한 미래 가치 창출을 지향한다.

신세계그룹은 '즐기는 야구로의 전환'을 표방하고 있다. 야구장이라는 공간에 신세계그룹 내 산재한 유통, 쇼핑, 식음료 프랜차이즈를 하나로 끌어모아 수익률을 극대화하겠다는 것. 미국, 일본 등 이미 많은 돔구장이 같은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돔구장 건립 이슈가 불거질 때마다 '야구 외 산업 유치'가 필수요소로 거론됐다.

일본프로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도쿄돔은 일본야구의 상징같은 곳이다. 여러 지하철이 교차하는 교통요충지에 위치해 접근성이 뛰어나다. 호텔과 종합쇼핑몰, 놀이기구까지 이용이 가능한 레저시설이 딱 붙어 있다. 야구도 보고, 쇼핑도 하고, 야구가 없을 때는 공연도 본다. 도쿄돔 자체가 대규모 복합레저시설인 셈이다.

백화점, 마트 등 내수 수위권의 주력사업이 다양한 신세계그룹은 계열사만 동원해도 이런 조건을 충족하고도 남는다. 하남, 고양에 각각 세운 스타필드로 이미 위력을 입증한 바 있다. 개점 당시 이미 대세로 자리 잡은 온라인 시장 환경에서 신세계그룹의 오프라인 대형몰 투자는 기대보다 우려가 컸다. 하지만 1조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에 대한 주위 불안을 단시간에 종식시키며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다.

야구 본연의 가치를 살리면서도 좀더 지속적인 생존력과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방편으로도 풀이된다.

넘어야할 산은 있다. 돔구장을 과연 계획대로 지을 수 있느냐다. 부지 매입과 선정, 건립 등 다양한 과제 속에서 지역 사회, 정치권의 목소리가 다양하게 터져 나올 것으로 보인다. '지역상권 황폐화', '교통대란', '환경파괴' 등 네거티브 요소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과정에서 신세계그룹이 원했던 그림과는 다른 방향으로 논의가 흘러갈 가능성이 있다. 앞서 건립된 고척돔의 예만 봐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지자체와의 협업이 매우 중요하다. 향후 인천 문학구장의 활용법 역시 고민해야할 부분이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