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몇 년간 야구는 못해도 공격력은 괜찮았다. 2018년부터 지난 해까지 '가을야구' 근처에도 못갔지만, 4시즌 동안 팀 타율 4위 이상을 했다. 2021년엔 1위까지 했다. 5년간 팀 타율 2할7푼2리. 이 기간 두산 베어스(2할8푼1리)에 이어 2위다. 압도적인 파워를 보유하지 못했으나 매년 팀 홈런 5~6위를 유지했다. 득점으로 연결하는 능력과는 별개로 공격지표는 중상위권이었다. '이대호의 팀'에서 올 시즌 환골탈태한 롯데 자이언츠 이야기다.
그런데 롯데 야구, 짜릿하고 재미있다. 분명히 화려함과 거리가 있는데, 극적인 스토리가 있고, 피를 끊게 하는 매력이 있다.
27일 고척돔에서 열린 히어로즈전. 상대 선발투수 최원태에 눌려 6회까지 3안타 무득점에 그쳤다. 득점 찬스를 만들기도 어려웠다. 최원태의 공이 워낙 좋았다. 그런데 7회 히어로즈 불펜 에이스 김재웅이 등판하자 무섭게 바뀌었다.
앞선 공격 때도 인상적인 장면이 있었다. 4회 선두타자 박승욱이 중전안타를 치고 나가 내야를
|
|
|
26일 경기도 비슷했다. 상대 선발투수 아리엘 후라도의 호투에 눌려 4회까지 2안타 무득점
으로 막혔다. 경기 후반에 어렵게 만든 기회를 확실하게 살렸다. 5회 선두타자 6번 노진혁이 좌중 2루타를 때렸다. 희생번트로 착실하게 기회를 이었다. 2사 3루에서 박승욱이 1타점 적시타를 쳤다. 2대0 승리를 만든 결승타였다.
7회에는 1사후 7번 한동희, 8번 유강남이 연속 안타를 쳐 추가점을 냈다.
득점권에 주자를 두고 2할9푼1리. 팀 타율보다 득점권 타율이 높다. LG(3할)에 이어 2위고, 대타 타율은 2할8푼1리로 전체 1위다. 탄탄한 하위타선이 찬스를 만들뿐만 아니라 해결까지 해준다.
27일 선발출전한 타자 9명 중 4명이 올해 자이언츠 유니폼을 입은 선수들이다. '고졸루키'로 1번으로 나선 김민석부터, 외부 FA(자유계약선수)로 영입한 노진혁 유강남, 두산에서 방출돼 롯데에서 새출발한 안권수까지 이력이 다양한 선수들이 맹수처럼 상대를 공략한다. 매 타석 한방을 때리는 건 어렵지만 기대감을 갖게 한다.
|
안권수는 27일 경기 후 인터뷰에서 "팔꿈치가 좋지 않은데 내가 할 수 있는 게 무엇인지 계속 고민했다. 스윙을 간결하게 하면서 팀 배팅과 수비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어떤 상황에 있든지 팀이 필요한 야구를 하겠다"고 했다.
롯데 야구에는 혼이 담겨 있다.
민창기 기자 huelva@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