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아무리 KBO리그에서의 성적이라고 해도 믿기지가 않는다."
실제 폰세 영입을 더 먼저 할 수 있었던 타 구단조차 '부상 위험성이 너무 크다'며 최종 계약 성사를 하지 않았을 정도. 그러나 한화는 과감히 폰세가 가진 구위를 믿고 도전했고, 성과로 이어졌다. 폰세는 23경기에서 15승무패 평균자책점 1.61이라는 놀라운 성적을 기록 중이다. 평균자책점 부문 리그 1위, 다승 1위, 승률 1위(1.000), 탈삼진 1위(202K)로 투수 4관왕에 정규 시즌 MVP까지 유력한 상황이다.
이닝수가 누적되며 후반기들어 어깨 부위 근육 뭉침 증세가 한차례 있었고, 최근 장염 증세 때문에 로테이션을 살짝 조정하는 일은 있었지만 다행히 우려했던 큰 부상은 아직 없다. 한화 역시 폰세의 컨디션 관리를 예민하게 살피고 있다. 폰세와 더불어 '원투펀치'를 형성하고 있는 라이언 와이스 역시 리그 정상급 활약 중인데다 류현진, 문동주로 이어지는 국내 3,4선발까지 막강하다. 타팀 '원투펀치'가 한화에는 1,2,3,4선발로 존재하는 셈이다.
|
일본에서의 성적은 크게 인상적이지는 않았다. 일단 풀타임을 뛰어본 적이 없다. 매년 부상이 있었고, 2022시즌 니혼햄에서 던진 83⅓이닝이 일본에서의 한 시즌 최다 소화 이닝수다. 다만, 구위만큼은 일품이었고 니혼햄에서 '노히트 노런'을 달성하는 등 강렬한 기억은 남긴 투수였다.
일본 매체 '디 앤서'는 16일자 보도에서 "(폰세가)이런 대단한 공을 던졌는가?"라며 반문했다. 올 시즌 폰세의 성적과 함께 SNS상에서 일본팬들이 "아무리 KBO리그여도 성적이 괴물급이다", "메이저리그에 갈 것 같다", "NPB에 돌아와주면 안되겠냐"라고 반응을 남긴 것을 언급했다.
실제 팬들의 반응도 비슷했다. 일본 야구팬들은 한일 양국 모두 뛰었던 외국인 선수들의 성적 차이를, 리그 수준 차이로 비교한다. 가장 가까운 예시가 되는 선수가 바로 멜 로하스 주니어(전 KT)와 라울 알칸타라(키움)다. 두사람 다 KBO리그에서 정점을 찍고 일본으로 건너갔으나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했다. 반대로 폰세는 일본에서 '톱클래스'가 아니었는데, KBO리그에서 압살하는 수준의 성적을 거두니 결국 리그 수준 차이가 아니겠느냐는 뜻이다.
|
반면 일본의 경우, 훨씬 더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일단 생활면에서 구단의 도움은 거의 받지 않고, 또 외국인 육성 선수까지 둘 수 있기 때문에 외국인 선수끼리도 무한 경쟁 체제다. 이 때문에 느끼는 스트레스와 압박감이 상당히 크다고 공통적으로 이야기한다. 폰세가 일본보다 한국에서 더 빠르게 적응한 것도 이런 문화와 분위기 차이가 컸다고 알려져있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