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 4번 타자 사토. 프로 5년차에 처음으로 베스트9 3루수로 선정됐다. 그는 올해 40홈런-100타점을 넘은 유일한 타자다. 사진출처=한신 타이거즈 SNS
한신 외야수 모리시타는 입단 3년 만에 처음으로 베스트9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4번 사토와 함께 한신 중심타선을 이끌었다. 사진출처=한신 타이거즈 SNS
에이스 무라카미는 처음으로 베스트9에 올랐다. 올해 다승-탈삼진-승률 3관왕에 올랐다. 사진출처=한신 타이거즈 SNS
한 시즌 내내 전력을 다해 거둔 성과를 평가받는 계절이다. 한신 타이거즈 3루수 사토 데루아키(26)가 프로 5년차에 별을 달았다. 2021년 신인 드래프트 1지명으로 입단해 처음으로 '베스트9'에 이름을 올렸다. 센트럴리그 3루수 부문에서 275표 중 269표를 기록했다. 득표율 '97%' 압도적인 지지로 최고가 됐다. 센트럴과 퍼시픽 양 리그 최다 득표다.
메이저리그 진출을 앞두고 있는 무라카미 무네타카(25)가 3표, 히로시마 카프의 고조노 가이토(25)가 2표를 얻었다. 야쿠르트 스왈로즈 간판타자 무라카미는 2020년 1루수로, 2021~2022년, 2024년 3루수로 네 차례 '베스트9'에 올랐다. 포지션별 최고 선수를 선정하는 '베스트9'은 기자단 투표로 결정한다.
사토는 올 시즌 일본프로야구 최고 타자로 도약했다. 139경기에 출전해 '40홈런-101타점'을 기록, 홈런-타점 1위를 했다. 양 리그에서 유일하게 '40홈런-100타점'을 넘었다. 장타율(0.579)-OPS(0.924)도 전체 '톱'이다.
센트럴리그 우승팀 한신 선수들이 '베스트9'을 휩쓸었다. 9개 포지션 중 7개가 한신 선수들에게 돌아갔다. 유격수와 외야수 한 자리를 빼고 모두 가져갔다. 한 팀에서 7명이 수상한 건 최다 기록이다. 1953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후 72년 만에 나왔다.
4번 사토와 함께 타선을 이끈 3번 모리시타 쇼타(25)도 처음으로 입성했다. 266표를 얻어 외야수 전체 1위를 했다. 그는 입단 3년차에 143경기, 전 게임에 출전했다. 타율 0.275-151안타-24홈런-89타점을 기록하며 맹활약을 했다. 홈런-타점 2위, 안타 5위.
한신은 2023년에 이어 2년 만에 센트럴리그 우승을 했다. 사진출처=한신 타이거즈 SNS
무라카미 쇼키(27)가 투수, 사카모토 센이치로(32)가 포수, 오야마 유스케(31)가 1루수, 나카노 다쿠무(29)가 2루수, 지카모토 고지(32)가 외야수로 영광을 안았다. 무라카미와 사카모토, 나카노는 첫 수상이고, 지카모토는 5년 연속 수상이다.
투수 부문은 무라카미와 사이키 하루토(27), 이시이 다이치(27) 등 한신 선수가 1~3위를 했다. 에이스 무라카미는 2023년 센트럴리그 MVP를 받았는데 '베스트9'은 놓쳤다.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좌완 아즈마 가쓰키(30)가 무라카미를 제쳤다. 무라키미는 올해 다승(14승)-탈삼진(144개)-승률(0.778) 3관왕을 했다.
한신세의 압도 속에 눈에 띄는 점이 있다. 유격수 득표가 없다. 또 모리시타와 지카모토에 이은 제3의 외야수 득표도 없다. 최강 전력 한신의 빈틈을 확인한 셈이다.
유격수 부문은 요미우리 자이언츠 이즈구치 유타(26), 외야 한 자리는 주니치 드래곤즈 오카바야시 유키(23)가 차지했다.
우승 퍼레이드 차량에서 포즈를 취한 선수들. 사진출처=한신 타이거즈 SNS
한편, 라쿠텐 이글스 루키 무네야마 루이(22)가 퍼시픽리그 유격수로 뽑혔다. 올해 신인 선수로는 유일하다. 신인 선수 수상은 1999년 '괴물투수' 마쓰자카 다이스케(세이부 라이온즈) 이후 26년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