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 용 기자] 대개편의 신호탄인가.
두 사람은 스타일이 명확히 다르다. 임동섭은 장신 슈터다. 수비 등이 아쉽지만, 3점슛 하나만큼은 내로라 할 수 있는 자원이다. 최승욱은 어느 하나 확실히 뛰어난 부분은 없지만, 두루두루 잘한다. 그리고 파이팅이 넘친다. 팀에 활력소가 되는 스타일이다.
삼성이 원하는 방향성이 읽힌다. 사실 선수 이름값으로만 보면 삼성이 손해인 듯 보인다. 하지만 은희석 감독이 추구하는 팀을 위한 농구, 쉬지 않고 뛰는 팀플레이 등을 더 강력히 하겠다는 메시지다. 최근 삼성이 긴 연패를 하는 동안 은 감독이 화났던 건 결과보다 코트에서 수비와 리바운드 등 의지를 보이지 않는 선수들의 근성이었다. 그 지적을 강력히 받던 선수 중 한 명이 임동섭이었다.
삼성은 이번 시즌을 앞두고 은 감독을 선임하며 체질 개선에 나섰다. 하지만 은 감독은 선수단에 크게 손을 대지 않았다. 어떻게든 잘 만들어보겠다는 의지인지, 아니면 넘치는 자신감이었는지 모르겠지만 어찌됐든 시작은 그렇게 했다.
시즌 초반 삼성은 제법 잘나갔다. 연세대 시절 키운 선수들을 중심으로 똘똘 뭉치는 농구를 보여줬다. 하지만 선수들의 부상이 이어지고, 결국 기존 선수들로 다시 경기를 하다보니 팀은 무너지고 있었다. 결국 은 감독과 삼성은 현실을 인정하고 임동섭 트레이드로 본격적인 팀 체질 개선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임동섭 뿐 아니라 기존 '만년 유망주'들도 긴장할 수밖에 없는 사인이다.
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