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배우 공효진(39)이 임상춘 작가를 "동백과 같은 사람"이라고 표현했다.
드라마로는 인터뷰를 진행하지 않았던 공효진이 '만족감' 때문인지, 취재진 앞에 섰다. 최근 서울 강남구의 한 카페에서 공효진은 '동백꽃 필 무렵'을 보내는 종영 인터뷰를 진행했다.
임상춘 작가는 베일에 싸인 인물이다. 혜성처럼 등장해 스타 작가를 향해 전진하며 '백희가 돌아왔다'부터 '동백꽃 필 무렵'에 이르기까지 '명품 작품'을 남겨 시청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대중들에게 존재를 알리지 않는 탓에 궁금증은 점점 더 쌓여만 갔다.
|
또 공효진은 "이 작품을 못했다면, 얼마나 아쉬웠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동백이는 다른 배우가 했어도 이렇게 사랑을 받았을 거라고 생각한다. 구성적으로 동정과 응원, 사랑을 받을 수밖에 없었고, 위해주고 싶을 정도로 모든 것이 포진된 캐릭터였다. 그 캐릭터를 연기를 잘 해서 밉지 않게 사랑을 받아야겠다고 생각하는 캐릭터도 아니었다. 그래서 오히려 저보다는 노규태가 노규태가 아니고, 덕순 회장님을 고두심 선배님이 안했다면 큰일났을 거고, 우리 엄마도 정은 엄마가 아니라면 신파적이었을 거라고 생각한다. 정은 엄마는 캐주얼한 엄마였다. '야! 너'가 나오고 '하나가 칠푼인데 쟤까지 팔푼이'라는 대사를 쓰며 우리를 봐줬다. 동백은 '제가 해야 한다'는 생각은 안 했었다. 누구에게나 사랑을 받고 응원을 받을 수밖에 업는 캐릭터였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
이어 "그런데 대본을 봤을 때 '게르마늄 팔찌를 한 여자'라는 문구가 등장했다. 제가 외국 여행을 갈 때 엄마가 게르마늄팔찌를 끼워주는 바람에 외국에서 찍은 사진에 그게 찍혀 검색어에 뜨기도 했다. 그래서 '작가님이 나를 꼬시려나 보다' 싶기도 했다. 대본을 받은 뒤 제가 영화를 찍어야 해서 고사를 한 적이 있는데, 현실적으로 촬영이 불가능하기도 했었다. 그래서 포기해야겠다고 생각하는데도 대본을 읽으면서 '나에게는 이게 행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걸 못했다면, 얼마나 후회했을까 싶을 정도다. 대본은 정말 시작할 때부터 좋았다. 1회를 보는데 2회가 좋았고, 5회, 6회, 7회 대본을 보는데 '진짜 좋다' 싶었다. 대본은 점점점 더 좋아졌다. 한 회도 내려가는 신이 없었다. '수요일 정말 재미있었는데, 내일이 더 좋대'라는 얘기도 계속 했다"고 밝혀 '대본집'에 대한 궁금증을 키웠다.
공효진은 시청자들과 마찬가지로 임상춘 작가의 차기작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임상춘 작가님이 다음 작품을 함께 해주신다면 당연히 해야 한다. 앞으로 더 있으실 것 같다. 계속해서 감탄에 감탄을 하며 작품을 했고, 연기를 하면서도 즐거웠다"고 추억했다.
'동백꽃 필 무렵'은 편견에 갇힌 맹수 동백을 깨우는, 촌므파탈 황용식이의 폭격형 로맨스 드라마로, 옹산이라는 가상의 도시에서 펼쳐진 동백의 사랑과 모성, 그리고 까불이(이규성)라는 존재가 주는 스릴러가 더해지며 시청자들의 감성을 자극했다. "선물같은 작품"이라는 '동백꽃 필 무렵'을 보내는 공효진은 "앞으로 오래 쉴 예정"이라며 휴식기를 예고했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