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창간특집] 엔씨소프트, 신작 '프로야구 H3'에 거는 기대는?

기사입력 2021-03-22 06:00



'MMORPG만 있다고? 천만에!'

엔씨소프트는 창사 이후 처음으로 지난해 연 매출 2조원을 넘는 기록을 썼다. 전년 대비로도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도 모두 최소 42%, 최대 72%까지 증가하며 코로나19 팬데믹에서 가장 수혜를 입은 업종이자 게임사가 되기도 했다. 전적으로 모바일 MMORPG '리니지M'과 '리니지2M'의 존재 덕분이다.

반대로 '리니지' IP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수치이기도 했다. 3조원대 매출을 넘고, 국내 게임사 대장주뿐 아니라 글로벌 게임사로의 도약을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IP 다양성 확보라는 과제를 확인한 자리이기도 하다.

이런 의미에서 오는 26일, 그리고 내년 4월 6일 연달아 출시하는 '트릭스터M'과 '프로야구 H3'의 중요성은 당연히 클 수 밖에 없다. 특히 '프로야구 H3'는 MMORPG에 집중된 라인업을 스포츠 게임으로 확장시킨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프로야구 H3' 출시에 앞서 올 시즌 KBO리그는 4월 3일 개막한다. 특급 신인이 대거 가세하고, 메이저리거였던 추신수가 처음으로 국내 프로 무대에 합류했으며, SK를 대신해 SSG가 등장하는 등 올 시즌 KBO리그는 볼거리와 화제성이 남다르다. 반면 코로나19 상황이 호전되지 않은 상황이라 관중 입장은 당분간 제한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야구장을 찾기 힘든 팬들이 야구 중계뿐 아니라 집과 사무실, 지하철 등 원하는 장소에서 언제든 즐길 수 있는 '손 안의 야구장'인 모바일 야구게임에 더 관심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신작 '프로야구 H3'는 전작인 '프로야구 H2'를 잇는 차세대 야구 매니지먼트 게임으로, 프런트의 지원과 데이터 활용 여부가 중요한 현대 야구의 트렌드를 그대로 반영했다고 엔씨소프트는 강조하고 있다. 기존 야구 게임에서 볼 수 없었던 게임성으로 스포츠 팬들의 호응을 얻으며 국내 야구게임 최초 사전예약 100만을 돌파하기도 했다.

엔씨소프트는 '프로야구 H3'를 통해 가볍게 즐기기 좋은 매니지먼트 게임에 팬의 감성을 자극하는 다양한 콘텐츠가 결합한 '손 안의 야구장'을 재현했다고 설명했다.

기존 매니지먼트 게임에서 이용자는 선수를 육성하고 팀의 전력을 높이는 '감독'의 역할을 맡는 게 일반적이었다. '프로야구 H3'에선 감독을 넘어선 '구단주'가 돼 나만의 팀이 아닌 나만의 구단을 보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5개의 분야(정책조정실, 전력분석실, 마케팅팀, 메디컬팀, 스카우트팀)로 구성된 프런트를 운영하며 안건을 처리하는 등 전문적인 야구단 운영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지난해 KBO리그 통합 챔피언인 NC 다이노스라는 명문 구단을 직접 보유하고 있기에 더욱 현실성 높은 콘텐츠를 만들 수 있었다.


게임의 백미는 팀을 구성하는데 있다. '프로야구 H3'의 선수 카드는 실제 선수의 성적을 기반으로 특징과 능력까지 고려해 제작된다. 이용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의 개성이 고스란히 반영된 카드를 모아 팀을 꾸릴 수 있다.


선수를 영입하는 과정도 실제 야구 시장과 거의 같다. 각지의 유망주를 발굴하는 '스카우터'와 필요한 선수의 조건을 요구하는 '콜업' 등의 시스템이 준비되는 등 선수단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또 국내 야구 매니지먼트 게임 최초로 도입되는 '이적시장'에서는 선수의 모든 스펙이 거래돼 애정을 갖고 키운 선수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다는 것도 차별점이라 할 수 있다.

엔씨소프트는 MMORPG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노하우와 기술력을 '프로야구 H3'에 접목, 더 편안하고 몰입도 높은 플레이 경험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시뮬레이션 경기 중 함께 제공되는 경기 중계를 통해 선수들의 움직임을 직접 확인할 수 있고, AI(인공지능)가 작성해준 리포트와 경기 하이라이트는 현실감을 더해준다. 이밖에 자사의 크로스 플레이 서비스 '퍼플(PURPLE)'을 이용하면 모바일뿐 아니라 PC에서도 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엔씨소프트는 사전 예약 특집 방송인 '티키타구'에서 NC 다이노스의 양의지 박민우를 비롯해 지난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레전드 플레이어 박용택 김태균 등을 초청, 다양한 야구 콘텐츠를 소개하면서 게임팬뿐 아니라 야구팬들의 기대감도 함께 상승시키고 있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