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강희 전북 감독은 올 시즌 K리그 클래식에서 새 역사를 썼다.
첫 마디는 "홀가분하다"였다. 늘 공식 석상에서 "무패 기록은 신경쓰지 않는다. 승리가 우선"이라고 말해왔다. 하지만 그 역시 사람이었다. 기록을 의식할 수밖에 없었다. 최 감독은 "정말 새 기록을 세우고 싶었다. 의식했다"면서 "새 기록을 세우면서 마음의 부담도 털어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자신감을 살짝 내비쳤다. "전남전과 5월 2일 수원과의 홈경기에 대한 대비책은 머리 속에 있다"면서 "전반에 선제 실점만 하지 않는다면 충분히 해볼만하다. 후반전에는 충분히 이길 수 있다. 선수들을 믿는다"고 말했다.
'300경기'로 이야기를 돌렸다. 제주전은 최 감독이 지휘한 300경기였다. 2006년 지휘봉을 잡은 뒤 여기까지 왔다. 2013년과 2014년 A대표팀을 지휘했던 2년을 빼고는 언제나 전주성에 있었다.
최 감독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때는 2009년이었다. 전북의 가슴에 첫 별을 달던 해다. 2009년 전북은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K리그에서 우승했다. 최 감독은 "이전까지만해도 우리가 K리그에서 우승 할 수 있을 지 반신반의했다. 우승을 하면서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고 기억했다.
어려운 시즌도 있었다. 우승 바로 1년 전인 2008년이었다. 초반 상당히 힘들었다. 4연패를 하는 등 코너에 몰렸다. 구단 안팎에서 최 감독을 압박했다. 사퇴 여론도 심했다. 최 감독은 전북 팬들의 커뮤니티에 부진한 성적에 대한 해명글을 올리기도 했다. "가장 많이 배운 시즌이 2008년"이라고 말했다. "당시 우리팀은 리빌딩 중이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최 감독은 "초반 어려움이 조금만 더 지속됐다면 팀을 떠날 수도 있었다"고 웃으며 말했다. 전북은 중반 이후 살아났다. 그 해 플레이오프까지 진출했다. 드라마틱한 반전이었다. 최 감독은 "극한 상황에서 어려움을 이겨냈다. 팀이 강해지는 계기가 됐다. 단순한 어려움이 아니었다. 도약을 위한 시간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2008년이 전북의 분수령이었다"고 정리했다.
가시와(일본)=이 건 기자 bbadagun@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