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원만 기자] 프로축구 K리그1이 8라운드를 소화했다. 올 시즌은 코로나19 여파로 리그가 대폭 축소 운영된다. 정규리그 22라운드에 파이널 라운드 5경기로 축소됐다. 때문에 8라운드면 전체 일정의 30%를 소화한 셈이다. 이 정도 누적 지표면 올 시즌 경향성을 따져볼 만하다.
|
이렇게 2강과 나머지 팀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게 된 요인으로는 우선 코로나19에 의한 시즌 준비 환경의 변화를 들 수 있을 듯 하다. 한 축구관계자는 "코로나19로 리그 개막이 늦어지면서 각 팀마다 많은 훈련시간을 보내야 했다. 그 시간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보냈는지가 현재 전력으로 나타난다. 팀이 갖고 있는 시스템이나 지원의 차이가 극명하게 실력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결국은 평소 누적된 '투자'가 쌓아 온 격차가 코로나19라는 특수 상황으로 인해 여실히 드러났다는 것이다. 서울이 25년만에 참담하게 몰락하고 있는 점 역시 이런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그간 서울은 모기업으로부터의 투자가 갈수록 줄어들어왔다. 그럴 때마다 현장의 힘으로 어떻게든 버텨왔지만, 누적된 투자와 그에 따라 형성된 시스템의 깊이는 언젠가 드러나게 마련이었다. 올해의 몰락이 바로 그 결과물일 수 있다. 결국 지속적인 투자로 팀을 강하게 만들어 온 '진짜 프로'들이 점점 더 두각을 드러낼 수 밖에 없다. 다른 팀이 인식을 바꾸지 않는 한, 전북과 울산의 양강 독주구도는 계속 이어질 듯 하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한화 무더기 2군행...김태균은 빠진 이유 [크보핵인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