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일본의 저명한 베테랑 축구전문기자가 기고한 한국 축구 현장 취재기에는 K리그의 폐부를 꿰뚫는 듯한 촌철살인이 담겼다.
|
고토 기자는 "축구 스타일은 과거의 한국보다 현대화되었다. 일본처럼 패스를 통한 공격 전개에 점점 더 치중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전술적으론 J리그와 거의 비슷하다"고 평한 뒤, "이렇듯 패스 플레이 중심의 축구를 지향하지만, 강렬한 플레이와 공격성을 더 중시하는 것이 분명해보였다. J리그와 K리그의 가장 큰 차이점은 충돌(경합)의 강도다. '역시 한국답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축구 경기에서 강조되는 플레이 유형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경기 전 패스 연습에선 K리그 선수들이 J리그 선수보다 패스하는 속도가 느린 것 같았다고 덧붙였다.
'과도하게 사용되는 듯한 거대 경기장'에 대한 지적이 이어졌다. "2003년에도 포항스틸야드에서 경기를 취재한 적이 있다. 1990년 모회사 본사 바로 남쪽에 건설된 스틸야드는 약 2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축구 전용 경기장이다. 구식 육상 경기장이 주류였던 당시 한국에 획기적인 축구 전용 경기장이었다. 준공된지 35년이 지났지만, 최근 경기장에 새롭게 단장되었고, 2층 스탠드가 상당히 가팔라 경기 관람이 매우 편리하다. 주변엔 녹음이 우거져 있어 쾌적한 환경을 자랑한다"라고 했다.
|
고토 기자는 "일본에선 최근 서일본을 중심으로 접근성이 좋은 전용 경기장이 잇따라 건립되고 있다. iM뱅크PARK와 같은 시설이 더 많아지는게 K리그 발전을 위해 중요하지 않을까?"라고 제언했다. K리그1 기준 전용구장을 사용하는 구단은 포항과 대구 두 팀뿐이다. 광주도 광주축구전용구장을 사용하다 관중 수용, 잔디 등의 문제로 올해부터 다시 광주월드컵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K리그의 질적 성장을 위해선 인프라 구축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게 고토 기자의 생각인 듯하다.
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