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국대 스트라이커 오현규(24·헹크)가 눈물을 머금고 유럽 빅리그 진출을 다음으로 미뤘다.
이적시장 마감일에 슈투트가르트 클럽 하우스에 도착해 계약서 서명, 메디컬테스트 등 이적의 마지막 절차를 이행했다. 오현규측이 대한축구협회에 미국행 비행기를 하루 늦춰달라고 요청한 건 확실한 이적 신호였다.
|
오현규는 과거 한 인터뷰에서 유스 시절에 왼쪽 무릎 부상을 당한 뒤 무릎 십자인대가 전혀 없는 상태라고 고백한 바 있다. '무릎'이 메디컬테스트 탈락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2023년 수원 삼성을 떠나 셀틱으로 이적할 때, 2024년 벨기에 헹크로 이적할 때는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이번 데드라인 딜에선 문제가 된 듯하다.
|
오현규를 비롯해 소속팀에서 주전 입지를 잃은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이강인(파리생제르맹)도 이적없이 조용히 이적시장의 문이 닫히는 걸 지켜봤다. 김민재는 지난 여름 이적시장에서 인터밀란 등 이탈리아 클럽과 꾸준히 연결됐다. 인터밀란은 데드라인에 맨시티 수비수 마누엘 아칸지를 영입했다. 이강인은 토트넘, 노팅엄포레스트 등 잉글랜드 클럽과 링크가 됐는데, '이강인을 지키겠다'라는 파리생제르맹(PSG) 구단의 스탠스대로 잔류하게 됐다.
잉글랜드 풀럼의 관심을 받은 황인범(페예노르트), 잉글랜드 버밍엄 시티와 협상을 벌인 양현준(셀틱), 슈투트가르트와 연결된 배준호(스토크시티), 빅리그 진출을 노린 설영우(츠르베나 즈베즈다) 등도 다양한 이유로 지난 이적시장의 주인공이 되지 못했다. 양현준은 오현규가 돌아온 헹크 이적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있다.
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