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에 '그린라이트'를 유지하는 방법은?
남성은 연인과의 이별 징후로 '애정표현 및 스킨십 기피(21.2%)', '현저히 줄어든 대화 시간(19.5%)', '데이트 회피(17.5%)' 등을 꼽았다. 여성은 애인의 '무성의한 말투(22.1%)', '부정적인 대화 및 논쟁 증가(19.6%)', '가뭄에 콩 나듯 뜸해진 연락(16.9%)'으로 헤어짐을 감지했다.
연인 간 대화에서 불만, 다툼, 피로감 호소 등 부정적인 이슈의 비중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남성 다수(21.9%)는 대화 속 부정적 요소가 '50%가량'을 차지할 때, 관계가 위험하다고 느꼈다. 여성은 '10%가량(23.3%)'만 되어도 적신호라고 생각했다.
결별을 피하기 위해 데이트는 한 달 평균 최소 6회(남 5.5회, 여 6.4회) 정도는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로 치면 약 1.4회 만나야 하는 셈이다.
한편, 헤어진 연인이 꼭 지켰으면 하는 '이별 예의'는 '당분간 새로운 연애를 하지 않는 것(28.7%)'이다. 뒤이어 'SNS 및 연락처를 삭제해 소식 차단하기(16.6%)', '지인에게 혼자만 피해자인 양 굴지 않기(15.9%)', '술 취해 연락하지 않기(14%)', '이별 사유 공개 금지(13.9%)', '울며불며 매달리지 않기(4.5%)' 등이 있었다.
김승호 듀오 홍보 팀장은 "스마트 기기가 발달하고, SNS 메신저 등 다양한 매체 활용이 가능해지면서 빈번한 문자와 통화가 선택이 아닌 필수라 인식되고 있다"며, "이별을 막기 위해서는 연인과 나누는 연락을 양적으로 평가하기보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소통의 질적 개선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송진현 기자 jhsong@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