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자사 직장인 회원 585명을 대상으로 '동료 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 직장 동료 때문에 스트레스 받은 적이 있다고 답한 직장인은 93.3%에 달하며, 대부분의 직장인이 동료 스트레스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비호감인 동료 유형'을 묻는 질문에는 '말이 잘 안 통하는 동료'가 25.7%로 1위를 차지했으며, '남의 험담을 하는 동료(20.1%)',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동료(15.6%)', '게으름을 피우는 동료(13.8%)'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문제는 동료로 인한 스트레스가 업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 실제로 '동료 스트레스가 업무 성과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시나요?'라는 질문에 대해 95%의 직장인이 '그렇다'고 답변했으며, 다양한 대처방법에 대한 의견이 이어졌다.
우선, 가장 높은 응답률로는 '스트레스를 주는 동료 또는 불편한 상황을 피한다'는 의견이 26.7%를 차지했으며, 더 불편한 관계가 되기 싫어 '그냥 참는다(21.4%)'는 답변, '짜증을 내는 등 간접적인 방식으로 눈치를 준다(18.%)'는 의견이 각각 순위에 올랐다. 그 밖에도 '다른 동료 및 상사에게 고민을 털어놓는다(12.4%)', '해당 동료에게 문제점을 직접 말한다(9.6%)', '퇴사를 고려한다(9.2%)'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대로 직장 동료를 주로 찾게 되는 때는 '업무상 어려움으로 도움이 필요할 때'가 64.3%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으며, '상사, 거래처로부터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가 17.7%, '같이 밥 먹을 사람이 필요할 때'가 10.5%로 뒤를 이었다.
한편, '당신은 어떤 동료라고 생각하시나요?'라는 질문에는 68%가 '다른 동료들이 보기에 자신도 단점이 있을 것이다'라는 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9.8%는 '나 정도면 괜찮다'라는 의견을 보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