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평균수명 늘어났지만…주관적 건강상태 OECD 국가 중 ‘가장 낮다?’
 |
한국인 평균수명 |
|
한국인 평균수명
한국인 평균수명에 눈길이 쏠리고 있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통계로 본 광복 70년 한국사회의 변화'에 따르면 1970년 남성의 평균수명은 58.7세, 여성은 65.6세로 6.9세 차이가 났고, 2013년에는 남성 78.5세, 여성 85.1세로 올라 6.6세의 차이를 보였다.
한국의 기대수명을 미국, 일본, 중국과 비교해보면, 1970년에는 61.9세로서 4개국 중 가장 기대수명이 짧았지만, 1986년에 69.1세로 중국을 추월했으며, 2002년에는 77.0세로 미국을 추월했다.
건강의 질적 측면을 고려한 한국인의 건강수명(유병기간 제외)은 2012년에 66.0세로서 2012년의 기대수명 81.4세와는 15.4년의 차이가 났다.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포르투갈을 제외한 여타 국가들은 모두 60% 이상이 건강하다고 응답한 반면, 한국인의 경우에는 그 비율이 30%대에 머물렀다.
연령대별로는 20대, 30대 및 40대 등의 상대적으로 젊은 층에서 주관적 건강상태를 좋다고 인식하는 반면, 50대, 60대, 70대 이상의 고령층으로 갈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를 나쁘게 인지했다. <스포츠조선닷컴>
한국인 평균수명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