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공공기관 임금피크제는 노사정 타협 대상 아니다"

기사입력 2015-09-07 08:51


공공기관 임금피크제 / 사진=본 기사와 무관

최경환 "공공기관 임금피크제는 노사정 타협 대상 아니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공공기관 임금피크제는 노사정 협의체에서 타협할 대상이 아니다"고 말했다.

지난 4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 재무장관 회의 참석을 위해 터키 앙카라를 방문한 최 부총리는 기자 간담회에서 공공부문 임금피크제는 연말까지 하겠다고 정부가 방침을 정해 굉장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최 부총리는 "공공기관 임금피크제는 정부가 연말까지 하겠다고 목표를 정해 빠른 속도로 가고 있고 30대 그룹과 금융권도 도입하고 있다"며 "지금 와서 공공기관 임금피크제를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자는 것은 사실상 협상을 하지 않겠다는 얘기"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말 노사정 회의에선 공공기관 임금피크제를 별도 협의체에서 논의하기로 했지만 최 부총리는 "타협의 대상이 아니다"며 확실한 선을 그었다. 지난달 말 현재 316개 공공기관 중 96곳(30.4%)이 임금피크제 도입을 끝냈다.

10일로 제시했던 노사정 타협 시한에 대해 최 부총리는 "계속 협상한다고 될 일이 아니고 이제는 결단의 문제"라며 "(협상) 테이블에서 최선을 다하고 안 되면 정부 입법안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달 31일 언론사 경제부장단과의 간담회에서 "실업급여 확대 등 노동계를 지원하는 대책을 내년 예산에 반영하기 위해선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하기 전인 10일까지 노사정 타협을 이뤄 달라"고 주문했다.

한국노총이 "공무원부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선 "공무원은 호봉상한제를 직급별로 하고 있는 등 임금피크제적인 요소가 이미 일부 도입돼 있다"며 "공무원 임금을 인상할 때 인상 재원으로 성과급 부분을 강화하는 데 쓸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 문제도 언급했다. 최 부총리는 앙카라 G20 회의에서 스탠리 피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부의장과 만난 얘기를 언급하며 "미국이 금리를 조만간 올리기 시작할 것 같지만 신중하게 느린 속도로 할 것이라는 인상을 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미국 금리가 올라가면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 금리도 모두 같이 따라가야 한다는 인식이 있는데 반드시 그렇지 않다"고 덧붙였다. <스포츠조선닷컴>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