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치료를 권고받은 60대 남성 J씨는 이를 뽑고 임플란트를 하고 나면 피가 계속 날까봐 고민이다. 심장질환 치료 이후에 피를 맑게 해주는 항혈전제를 복용 중이기 때문이다. 임플란트 시술 중에 출혈이 많이 생길까봐 약을 중단할까 생각했지만, 그렇게 하기에는 심장도 걱정이다.
우선 치과 치료 후에 출혈이 어느 정도 될지, 그리고 얼마나 깊은 부위까지 치료가 이루어질지 확인해야 한다. 뼈를 직접 건드리지 않는 스케일링, 치근활택술(잇몸 속에 기구를 넣어 치아의 뿌리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 근관치료(신경치료), 크라운(충치를 제거하고 이를 덮어씌우는 치료) 등은 치과에서 가장 흔하게 하는 치료로 시술 후 출혈 가능성이 많지 않다. 임플란트 중에서도 뼈를 삭제하지 않는 일반적인 발치나 뼈가 안정적인 부위에 시술하는 임플란트는 치료 직후 피가 많이 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비교적 쉽게 지혈이 가능한 치료이다. 하지만 잇몸을 넓게 절개해서 뼈를 갈아낸 후 이를 빼야 하는 발치나 깊은 곳까지 뼈 이식을 동반하는 임플란트 수술 등은 수술 후 출혈이 지속될 수도 있다.
항혈전제를 복용중인 환자의 치과 치료 전후 주의사항은 ▲치과의사의 진찰 후에 예상되는 출혈이 양, 출혈이 일어나는 깊이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인 ▲항혈전제를 처방하는 주치의에게 본인의 상태에 따른 약물 중단 가능 여부를 확인 ▲약물 중단으로 인한 위험성과 치과 수술 후의 출혈 가능성을 함께 고려해 치료 전 항혈전제 중단 여부를 결정 ▲치료 후 지혈이 잘 되도록 치과의사의 권고 사항을 적극적으로 준수 ▲만약 항혈전제를 중지하고 치과 치료를 받은 경우에는 치료 후 출혈 여부를 확인한 후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항혈전제 복용을 다시 시작 등이다.
박관수 교수는 "정밀 진찰 후 깊이가 너무 깊지 않은 수술이라면 가능한 항혈전제의 중단 없이 진행할 수 있다"며, "만약 수술 후 지혈에 문제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입원 수술도 가능하고, 언제든 신속히 대응 가능한 응급 의료 인력이 근무하고 있으므로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다. 또한, 항혈전제 복용 중 치과 수술을 받고 출혈이 지속될 때는 당황하지 말고 차분하게 의료진의 처치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