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금을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게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논란이 불거지자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기자회견을 열고 반박에 나섰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지난 30년간 이 운동을 같이 해오며 가족같이 지내셨던 할머님의 서운함, 불안감, 분노를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할머니께 원치 않은 마음의 상처를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겠다"고 밝혔다.
정의연 측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기부수입 총 22억1,900여만원 중 41%에 해당하는 9억1,100여만원을 피해자지원사업비로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한경희 정의연 사무총장은 "피해자 지원사업은 건강치료지원, 인권·명예회복 활동지원, 정기방문, 외출동행, 정서적 안정지원, 쉼터 운영 등으로 수행되고 있다"며 "인건비를 포함하지 않은 비용으로 공시에 나와 있는 피해자지원사업 예산만으로 판단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지난 30년간 헌신해 활동가들이 일궈낸 인권운동사를 훼손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이번 논란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지난 7일 기자회견을 열고 '정의연이 성금과 기금을 받아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 '성금을 어디에 쓰는지도 모른다'고한 발언에서 비롯됐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