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나 저학력, 미취업 가구주에서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4일 발표한 '1인 가구의 특성분석과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통해 해당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다인가구 확대를 위한 주거 및 일자리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다.
미취업 가구주의 1인 가구 비중은 35.0%로 취업가구(21.5%)보다 높았다. 취업가구 가운데 임시직은 34.8%, 자영업자는 14.6%로 나타났다.
주거 형태별 차이도 컸다. 자가 가구주는 13.4%에 그쳤으나 월세는 48.2%, 무상주택 등 기타는 60.7%에 달했다.
한경연은 1인 가구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들의 인과관계 확률값을 분석한 결과, 주거형태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자가와 비교했을 때 전세는 1인 가구에 속할 가능성이 약 8~9%포인트 높아졌으며 월세는 약 26%포인트, 기타는 약 38%포인트 올라갔다.
취업 형태 역시 영향을 미쳤다. 미취업과 비교해 1인 가구 확률이 상용직 5%포인트, 자영업은 5~6%포인트 낮았다.
한경연은 "1인 가구 증가는 소득불평등과 빈곤율을 악화시킨다"면서 "1인 가구를 다인 가구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주택 관련 금융과 세금정책 개선을 통한 안정적 주거 공간 마련 기회를 확대하고, 정규직 고용보호 완화와 고용 유연화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