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크게 오른 밥상 물가 탓에 저소득층의 살림살이가 한층 팍팍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이 낮은 가구일 수록 지출 증가율이 두드러진다. 식료품과 비주류음료는 대표적인 필수 지출 중 하나인데, 물가가 오른다 하더라도 절약하는 데 한계가 있다. 식자재값이 올랐다고 밥을 먹지 않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1분위 가구는 2∼5분위 가구보다 식료품·비주류음료에 더 적은 돈을 쓰지만, 한달 소비지출에서 식료품·비주류음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1분위가 21.2%로 가장 높다. 밥상 물가가 오를 경우 살림에 타격을 많이 받는다는 의미다.
한편 1분위 가구 중 2분기에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적자가구 비율(55.3%)은 1년 전보다 8.2%p 올랐다. 식료품 물가 상승 등이 지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가계소득 증가 효과를 유발했던 전국민 재난지원금 영향이 사라지면서 모든 소득분위에서 적자가구 비율이 높아졌으나 특히 1분위의 상승 폭이 컸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값인 흑자액을 살펴보면 1분위 가구는 -34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68.4% 줄어들었다. 전체 가구의 흑자액은 1년 전과 비교해 13.7% 줄어든 97만9000원이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