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인 월평균 8.5일 음주…주종은 맥주 선호

최종수정 2022-03-06 10:12

지난해 한국 성인은 월평균 8.5일 술을 마신 것으로 나타났다. 주종은 맥주를 가장 선호했다.

한국농수산식품(aT)은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 주류시장 트렌드 보고서'를 발간했다.

조사팀은 지난해 7월 20~30일 전국의 19~59세 남녀 중 월 1회 이상 술을 마신 2000명을 대상으로 주류 소비에 관한 설문 조사를 했다.

이들이 한 달에 술을 마신 날은 평균 8.5일로, 전년(9일)보다 소폭 감소했다.

술을 마신 날의 평균 음주량은 7잔으로 2017년(6.9잔) 이후 가장 많았다. 조사팀은 음주량 기준을 통일하기 위해 주종별 알코올 함량을 토대로 소주 1병은 7잔, 맥주 1병은 1.5잔, 막걸리 1병은 4.5잔 등으로 환산했다.

일평균 음주량은 2018년 6.3잔까지 감소했다가 2019년에 6.9잔으로 늘었다. 2020년에는 6.7잔을 기록했다.

한 달에 마신 주종의 평균 비중은 맥주가 42.2%로 가장 높았다. 희석식 소주(25.4%), 전통주(20%), 혼합주(5.1%), 수입 와인(3.4%), 수입 증류주(3.1%) 등이 뒤를 이었다.

전년보다 맥주를 마신 비중은 0.8%포인트(p) 늘어났지만 소주는 7.3%p 줄었다.


술을 마셨을 때 만족하는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했을 때 4점 이상을 받은 비율(만족도) 역시 맥주가 77%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통주(70.8%), 수입 와인(69.2%), 혼합주(62.1%) 순이었다. 소주는 5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