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인터넷 쇼핑 이용률은 높아지고 있지만 거래에 필요한 지식은 이와 달리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대면·온라인 등 디지털 거래에서의 소비자 권리 및 정보 활용, 개인정보관리, 디지털 콘텐츠 소비 등 디지털 거래 영역의 점수는 49.4점, 거래 일반에서의 구매 의사결정, 청약 철회, 소비자 정보 제공 및 소비자 상담 등 일반 거래 영역의 점수는 48.8점이었다.
디지털 거래와 일반 거래 영역의 점수는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5점 이상 낮았다.
일반 거래 문항 중에서는 소비자상담센터 전화번호와 정부가 운영하는 소비자 24 웹사이트의 비교 정보 제공 기능을 알지 못한다는 응답 비율이 60%를 넘었다. 모든 제품의 표시 정보를 정부나 공공기관이 승인·허가하고 있지는 않다는 사실을 정확히 알고 있는 응답자는 5.4%에 불과했다.
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대상 소비자 정책 수립과 추진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