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비경제활동청년 17%는 '캥거루족'…경제활동 참여의지 약화 경향

기사입력 2025-07-06 08:28

'비구직 청년의 특성과 정책과제' 보고서 표지
['비구직 청년의 특성과 정책과제' 보고서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비구직 청년의 특성과 정책과제' 보고서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대학 등을 졸업한 후에도 부모와 함께 사는 일명 '캥거루족'이 전체 비경제활동 청년의 약 17%를 차지하는 가운데 이들의 경제활동 참여 의지가 점차 약화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6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비구직 청년의 특성과 정책과제' 보고서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10년(2015∼2024년) 연간 자료 등을 분석해 19∼39세 비구직 청년의 인구적 특성 현황을 제시했다.

먼저 비경제활동 청년 인구의 지난주 활동 상태로는 '정규교육기관 통학', '육아', '쉬었음'이 10년 평균 전체 67.6%를 차지했다.

'정규교육기관 통학'은 10년간 큰 변화가 없었으나, '육아' 상태 인구는 10년간 26.8%에서 13.8%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지만, '쉬었음' 상태 인구는 10.5%에서 20%로 약 두배 상승했다.

'쉬었음' 청년 수는 2023년 육아 중인 청년 수를 넘어섰다.

보고서는 이런 현상이 경제활동참여 의지와 구직활동이 점차 약화하는 추세를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특히 구직의사가 없는 청년은 전체 비경제활동 청년의 약 77%를 차지했고, 구직의사는 있으나 최근 4주 내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청년도 약 22%에 달했다.

보고서는 또 비경제활동 청년을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부모와 함께 거주하며 4년제 대학에 재학하는 미혼 청년(21.7%), 졸업 후 배우자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23.9%), 졸업 후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미혼 청년(16.8%) 등 3개 집단이 약 60%였다고 분석했다.

이중 부모와 함께하는 미혼 남녀 졸업자의 경우 '구직의사 있음' 비중이 2016년 약 55%에서 2024년 50%로 전반적으로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경제활동을 시작하고자 하는 적극적 의지가 다소 약화하는 것을 시사한다.

일자리가 주어졌을 때 취업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같은 기간 54%에서 31%로 떨어졌다.

구직의사와 취업 가능성에 모두 긍정적이었던 비중 또한 2015년에는 56% 이상이었는데, 코로나19의 영향 이후 급감해 2024년에는 31%까지 낮아졌다.

한편 청년들의 경제활동 상태는 만 26세 이후 비교적 고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대 중반까지는 대부분 실업 상태를 반복 경험하나, 25∼26세를 기점으로 취업 상태로 안정되는 집단과 일 경험이 부족해 장기 비경제활동으로 전환되는 집단이 구분됐다.

또 만 28세 이전에는 그 이후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활동 상태 전이가 꾸준히 발생하나, 그 후에는 경제활동 상태가 바뀔 가능성이 희박해진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현재 '쉬었음' 인구가 청년의 몇 퍼센트인지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각 개인의 '쉬었음' 상태가 얼마나 지속할 것인지 향후 전개를 예상하는 것이 더 중요한 문제"라며 "진정으로 도움이 필요한 청년들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정밀한 진단체계 구축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bookmania@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