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고령층 낙상 많은 의외의 장소, 어디?…배우자 없는 노인 낙상 위험 2배 높아

기사입력 2025-09-03 11:06


고령층 낙상 많은 의외의 장소, 어디?…배우자 없는 노인 낙상 위험 2배…
사진출처=이미지투데이(바른세상병원)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는 나라로, 노년층의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노년층의 낙상은 단순 사고가 아니라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다.

2024년 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70세 이상 노인의 낙상사고 환자 비율은 2014년 대비 2.1배 증가했으며, 남성보다 여성이 낙상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은 노인 사고 사망 원인 중 2위를 차지할 만큼 위험성이 크다. 노년층의 삶을 위협하는 낙상,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은 어딜까?

◇낙상의 60~70%는 '실내'…뼈 약한 고령층 골절상 이어져

낙상은 빙판길이나 야외활동 중 많이 발생할 것이라고 여기지만 실제로는 전체 낙상의 약 60~70%가 실내에서 발생한다. 침대나 의자에서 자세를 바꿀 때, 화장실에서 미끄러질 때, 보행 중 균형을 잃을 때 주로 사고가 발생한다.

뼈와 근육이 약해진 노년층은 작은 낙상에도 고관절 골절이나 척추압박골절 같은 골절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입원치료 및 침상 안정의 장기화로 보행능력이 저하되고 하지정맥 혈전증, 욕창, 폐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한번 낙상하면 재낙상 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지므로 낙상 예방을 위한 생활 관리와 집안 내 환경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고관절 골절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률 최대 70%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해 고관절 골절로 병원을 찾은 환자의 98%가 입원치료를 받았으며, 이 중 70~80대가 전체 환자의 89.9%에 달한다. 고관절 골절을 경험한 노인의 1년 내 사망률은 20~30%, 치료가 늦거나 적절히 이뤄지지 않을 경우 사망률은 70%로 높아진다.

노인 골절이라 불리기도 하는 고관절 골절은 허벅지와 골반 부위를 잇는 부위가 골절되는 것으로, 노년층에 생기는 낙상 골절 사고 중 가장 주의해야 할 부상이다.


특히 골반과 연결된 대퇴골 윗부분인 대퇴경부골절의 경우 회복에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리며, 보행에 지장이 생긴다. 이로인해 장기간 침상에 누워 지내게 되면 폐렴이나 욕창, 혈전으로 인한 심장마비, 폐색전, 뇌졸중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유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은 낙상사고라도 허리, 엉치 통증이나 절뚝거림 등의 증상이 있다면 하루빨리 병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른세상병원 낙상의학센터장 엄상현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노인 환자의 경우 대부분 골다공증이 진행되어 골절부위가 쉽게 분쇄되고, 고정 기구가 뼈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아 고정 실패와 불유합 위험이 높다. 특히 대퇴경부 골절의 경우 골절부위에 전위가 일어나면 대퇴골두로 공급되는 혈관의 손상으로 인해 외상성 무혈성 괴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고관절 인공관절 치환술이 필요하다"며, "전위가 없는 미세 골절은 초기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MRI와 같은 정밀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전위가 없는 골절 단계에서 치료가 시작되면 비교적 회복이 빠르고 합병증 발생 위험도 낮아진다. 노인 낙상 사고가 발생했다면 빠른 대처가 중요하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사망률을 줄이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배우자 없는 노인 낙상 위험 2배 높아…매트·손잡이 등 설치

낙상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하체 근력과 균형감각을 키우는 운동, 약물·영양 관리, 그리고 가정 내 환경개선이 필수다. 특히, 배우자가 없는 노인의 경우 낙상 위험이 2배 가량 높다고 보고돼 있는 만큼 낙상 위험 대비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실내 안전을 위해서는 ▲욕실 미끄럼 방지 매트와 손잡이를 설치 ▲바닥 전선 정리 ▲문턱 제거▲조도 개선이 권장된다. 또한 야간에 침상에서 화장실 이동시 조명을 적절히 배치하여 시야확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