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폐경 여성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 2배 높아" 국내 첫 규명

기사입력 2025-10-13 11:12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매년 10월 18일은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폐경학회(IMS)가 제정한 '세계 폐경의 날'이다. 폐경은 단순히 월경이 끝나는 과정이 아니라 여성 호르몬이 급격히 줄어들며 골다공증, 치매 등 다양한 만성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여성의 전 생애 건강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런 가운데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병원장 배시현) 혈관이식외과 김미형 교수(제1저자)와 황정기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은 조기 폐경 여성에서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높다는 사실을 국내 최초로 규명했다.

복부대동맥류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고 파열 시 사망률이 최대 80%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여성은 발병률이 낮다는 이유로 검진 권고 대상에서 제외돼 왔으나, 일단 발병하면 남성보다 파열 위험이 4배 높고 수술 예후도 불량해 조기 진단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연구팀은 논문 '조기 폐경 여성에서 복부대동맥류 발생률 증가(Increased incidence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in women with early menopause)'에서 대규모 국가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09년 국가검진에 참여한 40세 이상 여성 310만 9509명 중 수술로 인한 폐경 환자와 데이터 누락자를 제외한 자연 폐경 여성 139만 3271명을 2019년까지 10년간 추적 관찰한 것이다.

그 결과 총 3629명(0.26%)이 복부대동맥류 진단을 받았으며, 40세 이전 조기 폐경 여성은 55세 이후 폐경 여성보다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이 23%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평생 월경 기간이 30년 미만인 여성은 40년 이상인 여성보다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이 20%나 높다는 사실도 추가로 입증했다. 즉, 여성 호르몬 노출 기간이 짧을수록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65세 이상 연령이나 흡연 여부 등 기존 선별검사 모델의 주요 위험 요인을 제외하고 '조기 폐경(40세 이전)'만을 고려했을 때, 40세 이전 조기폐경 여성의 복부대동맥류 발생률이 40세 이후 폐경 여성보다 약 두 배(0.26% → 0.50%) 높게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이는 조기 폐경이 여성에서 복부대동맥류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독립적이고 특이적인 위험 요인임을 입증한 결과다.

김미형 교수는 "여성 호르몬은 혈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조기 폐경으로 이러한 효과가 사라지면서 복부대동맥류 위험이 높아진다"며, "이번 연구는 조기 폐경이 여성에게 있어 복부대동맥류를 유발하는 독립적 위험 요인임을 규명한 첫 대규모 분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황정기 교수는 "조기 폐경 여성은 기존의 고위험 인자(흡연, 고혈압 등)와 함께 선별검사 대상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며 "향후 여성 맞춤형 복부대동맥류 선별검사 기준 마련과 조기 진단 및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혈관외과학회가 발행하는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Vascular Surgery (IF 4.3)에 게재돼 국내외 학계에서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조기 폐경 여성 복부대동맥류 발생 위험 2배 높아" 국내 첫 규명
김미형 교수(왼쪽)와 황정기 교수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