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머신러닝(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스스로 학습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한 분야)과 전자건강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s)을 활용해 허리디스크(요추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치료 성과를 예측하는 새로운 방법이 제시됐다.
이에 이예슬 원장 연구팀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개 한방병원에서 침·약침, 한약 처방 등 한의통합치료를 받은 허리디스크 환자 6732명의 EHR을 기반으로 새로운 분석 방법을 고안했다.
연구팀은 허리기능장애지수(ODI, 0~100)를 활용해 환자군을 분류하고, 시간에 따른 증상 변화를 분석하는 '잠재계층궤적모형(LCTM, Latent Class Trajectory Model)'을 머신러닝 분석 모델과 결합했다. LCTM은 시간 경과에 따라 환자들이 보이는 증상 패턴을 파악하고 각 집단이 띄는 양상을 확인 및 분석하는 통계 기법이다. 동일 질환이라도 서로 다른 회복 패턴을 가진 환자군을 식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이예슬 원장은 "이번 연구는 한의학 분야에서 EHR데이터와 첨단 분석기법을 통해 예측 모델을 개발한 최초 사례"라며 "환자 개개인의 증상 변화 양상을 반영해 치료 결과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어, 향후 맞춤형 진료와 한의치료 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