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1000만 러너 시대" 스포츠안전재단,마라톤 안전X법개정 위한,의미있는 첫 간담회

기사입력 2025-08-13 21:25


"1000만 러너 시대" 스포츠안전재단,마라톤 안전X법개정 위한,의미있는…
사진제공=스포츠안전재단

[스포츠조선 전영지 기자]1000만 러너 시대, 전국 방방곡곡 연 350회 이상 마라톤 대회가 쉴새없이 열리는 유례없는 '달리기 열풍' 속 스포츠안전재단이 '안전 러닝'을 위한 첫 간담회를 열었다.

스포츠안전재단은 11일 '마라톤 행사 주요 협·단체 안전 간담회'를 서울 송파구 스포츠안전재단 교육장에서 개최했다. 국민체육진흥법 제13조의2(체육행사 개최시 안전관리조치)가 본격 시행된 후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하고 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도모하고자 마련된 이날 간담회에는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안전재단 정책 담당자와 이정일 전 국민안전처 교수, 박형준 동아일보 팀장, 조원재 대한육상연맹 차장, 한승훈 대구광역시체육회 과장, 정일종 이상커뮤니케이션즈 대표, 양윤미 서울특별시 주무관, 강태규 대구광역시 주무관 등 동아마라톤, 대구마라톤 등을 주최 주관하는 민간, 지자체 현장 관계자들이 참석해 중소 규모, 대규모 마라톤 행사시 안전관리 이행 절차 전반에 대한 각자의 경험과 개선 사항을 적극 공유했다.

박형준 동아일보 팀장은 "지자체, 정부가 주최·주관하는 행사에선 행정력에 기반한 철저한 안전관리가 가능하지만, 민간 주도의 행사는 이를 충분히 실현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존재한다"면서 "개최자, 지자체 및 경찰청 등 공동의 업무 분담과 역할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라톤 행사 전문 운영대행사인 이상커뮤니케이션의 정일종 대표는 "주최·주관 주체별로 안전관리 기준을 차등화하는 등 현장을 반영한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사고의 사후처리와 관련해 "재단에서 제공하는 공제보험 제도와 관련 교육의 확산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원재 대한육상연맹 차장은 "행사 주체 규모에 따라 안전관리 이행 여건에 격차가 존재한다"면서 "대규모 행사뿐만 아니라 중·소규모 행사에 맞춘 안전매뉴얼 제작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 "체육행사 주최자뿐만 아니라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캠페인과 안전교육 활성화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1000만 러너 시대" 스포츠안전재단,마라톤 안전X법개정 위한,의미있는…
사진제공=스포츠안전재단
이날 간담회에선 국민체육진흥법상 체육행사와 재난기본법상 지역축제간에 행정적 적용 기준이 다른, 이중적인 구조 문제도 지적됐다. 대구국제마라톤을 담당하는 대구광역시청의 강태규 주무관은 "체육행사와 지역축제간의 행정적 적용 기준이 혼선되면서 현장에선 어디에 신고하고 어떤 기준을 따를지에 대한 혼란이 있다. 법령간 경계를 명확히 하고, 행정 창구도 일원화해야 한다"고 현장의 문제점을 짚었다.

김봉주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산업과 사무관은 현장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한편 향후 체육행사 안전관리 조치에 관한 국민체육진흥법 개정 방향을 설명했다. 김 사무관은 "체육행사 개최시 안전관리계획을 지자체에 통보하고, 필요시 보완 요구가 가능하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스포츠안전재단의 특수법인화와 행사안전정보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실질적 지원 체계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준화 스포츠안전재단 안전관리실장은 "재단은 그동안 교육, 현장 점검, 인증, 공제보험, 폭염 대응 매뉴얼 등 다양한 안전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제도적 연계를 더욱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장순 스포츠안전재단 이사장은 "이번 간담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마라톤 행사 안전관리가 한층 개선되기를 기대한다"면서 "스포츠안전재단 특수법인화를 적극 추진하고, 실효성 있는 제도 마련과 안전한 체육행사 지원을 위해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한 관계 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