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위암환자가 여성환자보다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4~2018년 '위암(C16)'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건강보험 가입자 중 위암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 인원은 2014년 14만8000명에서 2018년 15만8000명으로 6.9%(연평균 1.7%) 증가했다.
남성은 2014년 9만9000명에서 2018년 10만6000명으로 7.2%(연평균 1.8%), 여성은 4만9000명에서 5만2000명으로 6.3%(연평균 1.5%) 늘었다.
특히 2018년 위암으로 진료받은 남성은 전체 환자의 67.3%(10만6291명), 여성은 32.7%(5만1631명)로 남성이 여성보다 2.1배 많았다.
이에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전한호 교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외에도 위축성 위염 및 장상피 화생 유병률의 남녀 간의 차이, 그리고 흡연, 음주, 식습관의 차이로 인해 남성환자가 여성 보다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2018년 연령대별 진료 현황을 보면, 60대 환자가 4만8627명(30.8%)으로 가장 많았고, 70대 4만3109명(27.3%), 50대 3만4082명(21.6%)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60대가 3만5423명(33.3%)으로 가장 많이 진료받았고, 70대 3만60명(28.3%), 50대 2만2천810명(21.5%) 순이었다.
여성도 60대>70대>50대 순으로 남녀모두 60대~70대 위암 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교수는 "국가 암 검진 사업으로 만 40세 이후 위 내시경 검사가 활발해 지고 있다"면서 "비록 50대에 위암 환자가 가장 많지만 40대에 암 환자가 30대에 비해 약 5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위암은 특이한 증상이 거의 없어 이상 증상을 몸으로 느끼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정기 검진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는 여전히 낮다"며 "40대에 발생한 위암이 위 내시경 검진을 통해 50대에 발견됐을 가능성도 높다"고 덧붙였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