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닷컴 이우주 기자] '조선구마사' 역사 왜곡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이 이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황교익은 지난 24일 자신의 SNS에 '조선구마사'의 역사 왜곡 논란을 꼬집는 기사를 공유하며 "한국 TV역사 드라마는 몇몇 등장인물 외는 완벽한 판타지다. '대장금'에 나오는 음식은 조선에 있었다고 생각하냐"고 '조선구마사'를 옹호하는 듯한 글을 남겼다.
이후 이 글이 논란이 되자 "'대장금' 음식이 조선에 있었다고 생각하나요?' 한 마디에 국뽕들이 난리가 났다"며 "조선 왕이 장금이 같은 궁녀가 요리한 음식 먹으며 이게 맛있네 저게 맛없네 품평했다고 생각하시냐. 판타지면 판타지로 보고 말지 뭔 역사 타령이냐"며 '조선구마사'를 둘러싼 왜곡 논란을 언급했다. 드라마는 드라마로, 판타지는 판타지로 봐야 한다는 것.
또한 "조선궁중음식무형문화재 지정을 위한 보고서에 일본음식이 올라가있는 거 아시냐. 판타지 드라마 보고 흥분하지 말고 엉터리 조선궁중금식 무형문화재나 바로잡자고 외치세요, 국뽕 여러분"이라고 비판을 이어갔다.
지난 22일 첫 방송된 SBS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는 첫 방송 직후부터 역사 왜곡 논란에 휘말렸다. 첫 방송에는 태종 이방원(감우성 분)이 아버지 태조 이성계의 환영을 본 후 백성들을 학살하는 장면, 충녕대군이 서역무당 요한(달시 파켓 분)과 통역 마르코(서동원 분)를 대접하는 기생집에서 월병, 피단 등 중국 전통 음식이 나온 장면 등이 나왔다.
최근 한복, 김치 등 우리나라 전통 음식과 문화를 중국에서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조선구마사'의 이러한 연출은 중국 측에 빌미를 제공했다는 비판이 제기됐고, 불매 운동 목소리까지 나왔다. 이에 '바디프렌드', '코지마', '반올림피자샵' 등 다수의 기업들이 광고 철회를 선언했다.
제작진도 사과했다. '조선구마사' 측은 "한양과 멀리 떨어진 변방에 있는 인물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정이었을 뿐 그럴 의도가 없었다"며 "예민한 시기에 오해가 될 수 있는 장면으로 불편함을 드려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중국 IT기업 텐센트가 운영하는 비디오플랫폼 위티비(WeTV)에서 '조선구마사'를 소개하는 글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건국된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둔 드라마'라고 소개돼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wjle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