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외부 활동·외식 수요 늘자…'매출 점프' 거듭하던 음식배달 시장, 성장 '주춤'

by

'코로나 특수'로 성장을 거듭하던 온라인 배달음식 시장이 엔데믹으로 주춤하면서, 지난해 하반기에는 6개월 연속 역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사회적거리두기 해제 이후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배달앱 이용자 수도 9개월 연속 줄었다.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음식서비스(배달음식) 온라인 거래액은 26조339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늘었다. 배달음식 거래액은 지난 2017년 2조7000억원 수준에서 2018년 5조3000억원, 2019년 9조7000억원, 2020년 17조3000억원, 2021년 25조7000억원으로 매년 급증해오다 지난해에는 성장세가 다소 주춤했다. 월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7월 거래액이 전년 동월보다 5.3% 줄어들었고, 12월까지 6개월 간 계속해서 감소세가 이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 국내 배달앱 사용자 수도 9개월 연속으로 감소하고 있다.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 등 3대 배달앱 플랫폼의 지난달 사용자 수는 3021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6%(602만명) 줄어들었다. 배달앱별로 살펴보면 배달의민족이 1987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2% 감소했고 요기요는 685만명으로 23.3%, 쿠팡이츠는 350만명으로 46.8% 각각 줄어들었다.

이와 같이 배달앱 이용이 줄어든 이유로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난해 4월 완전 해제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외부 활동이 늘어나며 음식을 배달시켜 먹기보다 밖에서 음식을 사 먹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이다.

배달비가 급격하게 높아진 점도 또다른 요인으로 꼽힌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중식·피자·한식 업체들의 배달비를 지난해 11월과 비교해보니 조사대상 업체의 13.5%는 배달비가 상승했다. 이는 배달비가 하락한 업체(5.8%)의 두 배가 넘었다. 배달의민족(묶음)은 배달비 상승 업체가 19.8%, 하락 업체가 8.2%였으며, 배달의민족 단건 서비스인 배민1은 배달비 상승 업체가 18.1%, 하락 업체가 5.8%로 나타났다.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