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국내 주거용 부동산 가격 상승률, 세계 평균보다는 크게 낮아

by

국내 주거용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세계 평균과 비교하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제결제은행(BIS)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명목 주거용 부동산 가격지수는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142.9(2010년=100)로 집계됐다. 집값이 2010년과 비교해 42.9% 올랐다는 의미다. 이는 이 자료에 포함된 59개국 중 48위에 해당하는 수치로, 세계 평균인 190.2는 물론 선진국 평균(178.2)이나 개발도상국 평균(202.6)보다 한참 낮았다.

한국의 명목 가격지수는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19년 3분기 121.7을 기록한 뒤 가파르게 상승해 2022년 3분기 말 154.1까지 치솟았다. 이후 하락세로 전환, 올 1분기 말(142.5)까지 6분기 연속으로 내렸다. 다만 이 지수는 모든 형태의 주거용 부동산이 통계에 포함된 것이기에, 국내에서 유독 오른 아파트 가격을 고려하면 실제로 체감하는 수치와는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다.

살인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잘 알려진 튀르키예는 지난해 4분기 말 2480.4를 기록, 2위인 칠레(344.2)를 크게 앞서는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이어 아이슬란드(330.4), 인도(328.0), 에스토니아(316.7), 헝가리(286.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대로 이탈리아는 92.0으로 59개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주거용 부동산 가격이 2010년보다 오히려 8% 하락한 셈이다. 키프로스(93.9), 그리스(102.3), 모로코(104.1), 핀란드(110.4), 스페인(110.8) 등도 집값이 내렸거나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낮은 국가에 속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 주거용 부동산 가격지수의 경우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한국은 지난해 4분기 말 109.3으로, 59개국 중 43위에 그쳤다. 세계 평균(123.0)을 비롯해 선진국 평균(132.3)과 개도국 평균(115.8)보다 낮았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