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LG유플러스는 통신장비 제조업체 에릭슨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네트워크 장애를 예측하는 기술을 시연했다고 23일 밝혔다.
AI 및 머신러닝 기반 네트워크 장애 예측 기술은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NWDAF)의 핵심으로 꼽힌다.
NWDAF는 네트워크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장애를 예측하며, 필요한 조치를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등 네트워크 자동화를 돕는 장비다.
국제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 3GPP의 표준기술장비로, 차세대 통신의 주요 기술인 네트워크 슬라이스 품질 검증에 활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와 에릭슨은 기지국에 트래픽 혼잡 상황이 발생했을 때, NWDAF를 통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별 과부화를 실시간으로 인지·예측하고, 필요한 조치를 결정하는 등 네트워크 품질을 선제적으로 보장하는 기술을 시연했다.
향후 AI 자율 조치 기능이 결합할 경우 '인간 운영자' 개입 없이도 네트워크가 작동되는 자동 운영 설루션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LG유플러스는 설명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이번 연구를 통해 고객 불편 사항을 사전에 인지해 조치하는 운영 자동화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고객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AI 기술을 네트워크 인프라에 적용하는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hyun0@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