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990년대까지만 해도 프로야구 선수들이 겨울 극기훈련 차원에서 영하의 날씨에 두꺼운 얼음을 깨고 들어가 냉수마찰을 자주 했다. 그 효과를 놓고 찬반 논란이 있었다. 정신력 고취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과 보여주기식 행사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섰다. 시간이 흘렀고 요즘엔 한겨울 찬물에 들어가는 선수는 없다. 간혹 일본 프로야구에선 팀이 아닌 개인훈련 차원에서 얼음 물속에 들어가는 선수가 있기는 하다.
마무리에서 선발로 보직을 바꾼 LG 트윈스 봉중근은 투구폼을 잡는 차원에서 배드민턴 채를 자주 이용한다. 종종 수건도 사용한다. 공기저항이 적어 어깨에 부담을 덜 주면서 투구 자세를 잡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삼성 라이온즈의 괌 1차 캠프에선 야구공 대신 테니스공을 잡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김평호 수비 주루 코치가 테니스 라켓으로 테니스공을 쳐주면 야수 선수들이 움직이면서 공을 잡는 식이다. 선수들이 야구공 보다 반발력이 좋은 테니스공을 잡으면서 순발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본다.
KIA 타이거즈 외국인 투수 헥터 노에시와 지크 스프루일은 미국 전지훈련 중 짬이 날때마다 축구를 하면서 기분전환을 하고 있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