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에 따른 국민적 '반일 감정'이 거세지고 있다. 일본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인 프로야구 분위기는 어떨까.
또 구단들이 적지 않은 비용을 쓰는 전지훈련 역시 가장 선호하는 장소는 일본이다. 모든 구단이 시즌전 스프링캠프, 시즌 후 마무리캠프 일정을 소화한다. 유망주 위주로 꾸려지는 교육리그도 일본에서 열리는 경우가 많다. 가까워서 이동 거리에 대한 부담이 적고, 최대한 한식과 비슷한 음식을 먹을 수 있는 데다 경기장 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대부분 대도시가 아닌 오키나와, 가고시마, 미야자키 등 지방 도시에 머물다 보니 한국 야구단이 한번 다녀가면 그 지역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구단의 1년 지출에 있어서도 전지 훈련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대체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야구 용품은 구단이나 한국야구위원회(KBO)가 지급하는 것도 있지만, 선수 개개인이 직접 주문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하게 된다. 미국 제품들도 있고, 국내 제품들도 질이 많이 좋아졌지만 여전히 브랜드마다, 상품 라인마다 미세한 차이가 있다. 완벽한 대체품을 찾아내기 힘들다. 또 감각에 민감한 선수들은 손에 익은 장비들을 하루 아침에 바꾸기 어렵다. 당장 경기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에 조심스럽다.
환경이나 기후를 놓고 보면 미국 서부가 최고다. 여러 구단들이 미국행을 원하지만, 메이저리그 팀들이 최근 애리조나 지역으로 많이 몰리고 있어 한국팀들은 빌려 쓰던 구장에서도 쫓겨나는 상황이다. 또 작년부터 스프링캠프 시작일이 늦어지면서 메이저리그 캠프 일정과 상당 부분 겹쳐 대여는 더욱 힘들어졌다. KT 위즈나 NC 다이노스처럼 전용 구장을 확보하는 '행운'이 따르지 않는다면 미국도 대체지가 되지 못한다. 대부분이 일본을 택하는 이유다.
야구단도 최근 반일 감정과 관련한 이슈를 잘 알고 있어, 현재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다.
나유리 기자 youll@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