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초점]5월5일 감독들의 기다림의 시간이 시작됐다

기사입력 2020-05-05 08:27


◇사진제공=KBO

[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이제부터 기다림의 시간이 시작된다.

2020 KBO리그가 드디어 개막한다. 예년보다 한달 이상 늦어진 개막. 감독들의 진짜 고민이 시작되는 순간이다.

구단들은 한달이상 테스트를 더 하면서 시즌을 준비해왔다. 롯데 자이언츠의 샘슨이 개인적 사유로 미국으로 갔고, 한화 이글스 채드 벨이 팔꿈치 염좌로 개막붜 나설 수 없는 상황이 발행하기도 했다. LG 트윈스 이형종은 마지막 연습경기에서 투구에 맞아 손을 다쳐 당분간 출전이 어렵게 됐다.

모든 것이 계획대로 다 풀릴 수는 없다. 이는 시즌도 마찬가디다. 새롭게 한국에 온 외국인 선수나 새로 주전 자리를 잡은 선수들에겐 자리를 잡을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한달 이상 더 훈련을 하고 청백전과 연습경기를 했기 때문에 개막과 함께 자신의 실력을 발휘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하는 선수들도 생길 수밖에 없다.

특히 외국인 선수들의 경우 한국 야구에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다. 아직 만나보지 못한 팀이 있을 정도로 다른 팀을 상대로 많은 경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낯설다. 청백전이나 연습경기에서 부진을 보인 이들도 있다. 계속 부진해 결국 퇴출당하는 선수도 있었지만 정규시즌에서 잘해서 몇년간 한국에서 '효자' 소리를 들었던 이들도 있다. KIA 타이거즈의 로저 버나디나는 2017시즌 첫 한달간 극심한 부진을 보였지만 5월부터 정상궤도에 올라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한화 이글스의 워윅 서폴드는 지난해 3월 2경기서 잘던졌다가 4월에 극심한 부진을 보였다. 5경기서 4패에 평균자책점이 7.39나 됐다. 하지만 이후 안정감을 찾았고, 갈수록 좋아져 9월 5경기에선 4승에 평균자책점 1.32를 기록하며 재계약을 할 수 있었다.

적응을 얼마나 빨리 하느냐에 달려 있지만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래서 감독들은 부진하더라도 어느 정도는 기회를 주면서 상황을 지켜본다. 경기를 할 때마다 적응해 나가면서 자신감을 찾고 자신의 실력을 발휘하는 것이 베스트지만 적응 속도가 느릴 수도 있다. 당장 성적에 대한 압박감이 생기는 상황에서 부진한 선수를 마냥 기다릴 수도 없다.

무조건 기다리는 게 능사도 아니다. 나아지는 것이 보이지 않는다면 대안을 찾아야 한다. 그 시점을 찾는 것이 감독의 역할이다.

외국인 선수의 경우 미국이 아직 코로나19로 인해 선수들이 개인 훈련만 하고 있어 새 선수를 데려오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새롭게 온 선수들이 부진하더라도 좀 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체 선수가 바로 뒤에서 대기하고 있는 국내 선수들의 경우엔 아무래도 기다림의 시간은 짧을 수밖에 없다.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무료로 알아보는 나의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