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 용 기자] 류현진의 부활, 한화 입장에서는 아쉬움일까.
류현진은 지난 14일 열린 시카고 컵스와의 경기에서도 이날 경기와 똑같이 5이닝 2실점 비자책 경기를 했다. 감격의 복귀승. 2경기 연속 비자책 기록으로 14이닝 동안 자책점 없는 투구를 이어가고 있다. 자연스럽게 평균 자책점은 1.89로 낮출 수 있었다.
팔꿈치 수술로 1년을 넘게 쉰 투수가 맞나 싶을 정도로 쾌조의 페이스다. 패전을 기록하기는 했지만,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복귀전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경기 초반 긴장만 하지 않았다면, 경기 감각 문제만 드러내지 않았다면 그 경기도 무난하게 막을 수 있어 보이는 내용이었다.
아직은 차근차근 페이스를 끌어올릴 때라 이날도 투구수를 83개로 끊었다. 투구수 100개에 도달하고, 구속도 조금 더 늘면 류현진은 빅리그 선발 투수로서 다시 완벽하게 연착륙할 조짐이다. 제구와 경기 운영 능력이 기복을 보일 가능성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류현진은 이번 시즌을 끝으로 토론토와의 4년 계약이 끝난다. 이렇게 선발로서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면, 8000만달러 '초대박' 계약까지는 아니더라도 충분히 2~3년 계약을 따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류현진은 한화 이글스에서 데뷔해 꾸준하게 성장, 결국 꿈의 무대인 메이저리그에 진출할 수 있었다. 자연스럽게 선수 생활 황혼기를 맞이한 류현진이 한화에 복귀해 마무리를 할 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다. 류현진 본인도 언젠가는 고향 한화로 돌아갈 것이라는 의지를 줄곧 강조해왔다.
문제는 류현진이 메이저리그에서 경쟁력을 잃었다고 판단할 때 한화 복귀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인데, 지금 모습이라면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새 계약을 맺고 메이저 무대에서 더 활약을 펼칠 수 있다. 선수도 몸상태만 이상 없다면, 당연히 최고 무대에서 자신의 가치를 더 입증해보이고 싶은 마음이 클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한화 복귀가 늦어지게 되는 것이고, 나이가 더 차면 메이저리그에서 은퇴할 가능성도 생긴다. 류현진도 내년이면 한국 나이로 38세가 된다.
한화 입장에서는 류현진이 돌아와주기만 한다면 당장 전력에서 플러스인 건 물론이고, 흥행에서도 엄청난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올해도 반전 없이 하위권 싸움 중이기에, 팀 분위기를 바꿀 최고의 카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림의 떡'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